"한국, 미 제재 탓 인도적 물품 교역도 거절"[이란 신문](종합)
입력
수정
한국에 동결된 원유 수출대금 사용 강조
"한국에 미국 적극 설득하라는 메시지" 해석 이란 유력 일간지 에테마드는 27일(현지시간)자를 통해 인도적 목적으로 필요한 의약품을 사겠다는 이란의 제안을 한국이 거절했다면서 미국의 일방적 '경제 테러리즘'(제재)에 동참했다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1면에 '한국은 이란과 60년 우호를 경매에 내놨다'라는 제목으로 이런 내용의 비판 기사를 내보냈다.
이란에서 '경매에 내놓다'는 표현은 쓸모가 적어진 물건을 싼값에 넘길 때 사용한다.
에테마드는 "한국(기업)은 잠재력이 큰 이란에 진출해 경쟁자를 물리쳤고 이란 국민은 이를 반겼지만 지금은 유감스러운 기억으로 남았다"라며 "미국의 경제 테러리즘에 동참해 이란과 관계를 끊고 떠나버렸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란이 희소병에 필요한 특수 의약품을 한국의 은행에 예치된 이란의 원유 수출대금으로 사겠다고 제안했지만 한국은 이 인도적 교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라고 주장했다.
이 신문이 언급한 원유 수출대금은 이란과 교역을 위해 이란 중앙은행 명의로 한국 내 은행에 개설한 원화결제계좌에 있는 약 50억 달러의 돈을 뜻한다.
원화결제계좌는 이란산 원유를 수입한 한국 정유회사가 이 결제계좌에 수입대금을 원화로 송금하고, 이란에 제품을 수출한 한국 회사가 수출 대금을 이 계좌에서 찾아가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이란에 외화가 유입되지 않도록 해 미국의 제재에 저촉되지 않으면서도 한국과 이란이 교역할 수 있도록 한 금융 채널이었지만 2018년 8월 미국이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면서 사실상 계좌가 동결됐다.
결과적으로 이란 입장에서는 원유를 수출한 대금을 받지 못하게 된 셈이다.
이란 정부는 한국에 이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하지만 이란 중앙은행과 거래를 금지하는 미국의 제재 탓에 한국이 이 요구에 응하기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처지다. 에테마드는 한국이 미국의 압박에 굴하지 말고 의약품, 의료 장비 등 인도적 물품 교역에 이 동결된 원유 수출 대금을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소식통에 따르면 한국은 코로나바이러스 방역에 필요한 한국산 물품만 이란이 살 수 있다고 했으나 그때는 이미 이란이 수출할 만큼 해당 방역 물품이 충분했다고 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이란과 인도적 교역을 거절하면서도 수만 ㎞ 떨어진 미국이 코로나바이러스 사망자가 1명일 때부터 그들에게 인도적 물품을 지원했다"라고 비난했다.
한국은 지난달 6일과 이달 17일 약 15억원어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도구와 방역 물품을 이란에 기부했다.
앞서 지난해 말과 올해 초에 2차례에 걸쳐 이란에 희소병 치료제와 항암제 등 제재로 이란이 수입하지 못한 의약품을 모두 12억원어치 무상 지원했다.
한국 정부가 이란에 인도적 물품을 지원하겠다는 뜻을 충분히 밝혔고 이 약속을 실행했음에도 이 신문이 이 문제를 거론한 것은 한국에 동결된 거액의 원유 수출대금을 사용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에테마드는 "미국의 제재를 두려워하는 한국 회사들의 사정은 이해하지만 조금이라도 이란과 교역했던 지난 2012년 미국의 대이란 제재 때와는 다르다"라며 "한국의 미국에 대한 정치·안보 의존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다른 면에 실은 이란 금융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이 이란의 원유 수출대금을 교역에 쓰지 못하는 불가피한 사정을 한국과 미국의 관계를 배경으로 해설했다. 익명을 요구한 이란 정치평론가는 연합뉴스에 "미국의 제재와 유가 폭락으로 이란의 외화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라며 "이번 기사는 한국의 중요성을 잘 아는 이란이 한국 정부에 미국 정부를 적극 설득하라고 주문하는 메시지로 보인다"라고 해석했다. /연합뉴스
"한국에 미국 적극 설득하라는 메시지" 해석 이란 유력 일간지 에테마드는 27일(현지시간)자를 통해 인도적 목적으로 필요한 의약품을 사겠다는 이란의 제안을 한국이 거절했다면서 미국의 일방적 '경제 테러리즘'(제재)에 동참했다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1면에 '한국은 이란과 60년 우호를 경매에 내놨다'라는 제목으로 이런 내용의 비판 기사를 내보냈다.
이란에서 '경매에 내놓다'는 표현은 쓸모가 적어진 물건을 싼값에 넘길 때 사용한다.
에테마드는 "한국(기업)은 잠재력이 큰 이란에 진출해 경쟁자를 물리쳤고 이란 국민은 이를 반겼지만 지금은 유감스러운 기억으로 남았다"라며 "미국의 경제 테러리즘에 동참해 이란과 관계를 끊고 떠나버렸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란이 희소병에 필요한 특수 의약품을 한국의 은행에 예치된 이란의 원유 수출대금으로 사겠다고 제안했지만 한국은 이 인도적 교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라고 주장했다.
이 신문이 언급한 원유 수출대금은 이란과 교역을 위해 이란 중앙은행 명의로 한국 내 은행에 개설한 원화결제계좌에 있는 약 50억 달러의 돈을 뜻한다.
원화결제계좌는 이란산 원유를 수입한 한국 정유회사가 이 결제계좌에 수입대금을 원화로 송금하고, 이란에 제품을 수출한 한국 회사가 수출 대금을 이 계좌에서 찾아가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이란에 외화가 유입되지 않도록 해 미국의 제재에 저촉되지 않으면서도 한국과 이란이 교역할 수 있도록 한 금융 채널이었지만 2018년 8월 미국이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면서 사실상 계좌가 동결됐다.
결과적으로 이란 입장에서는 원유를 수출한 대금을 받지 못하게 된 셈이다.
이란 정부는 한국에 이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하지만 이란 중앙은행과 거래를 금지하는 미국의 제재 탓에 한국이 이 요구에 응하기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처지다. 에테마드는 한국이 미국의 압박에 굴하지 말고 의약품, 의료 장비 등 인도적 물품 교역에 이 동결된 원유 수출 대금을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소식통에 따르면 한국은 코로나바이러스 방역에 필요한 한국산 물품만 이란이 살 수 있다고 했으나 그때는 이미 이란이 수출할 만큼 해당 방역 물품이 충분했다고 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이란과 인도적 교역을 거절하면서도 수만 ㎞ 떨어진 미국이 코로나바이러스 사망자가 1명일 때부터 그들에게 인도적 물품을 지원했다"라고 비난했다.
한국은 지난달 6일과 이달 17일 약 15억원어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도구와 방역 물품을 이란에 기부했다.
앞서 지난해 말과 올해 초에 2차례에 걸쳐 이란에 희소병 치료제와 항암제 등 제재로 이란이 수입하지 못한 의약품을 모두 12억원어치 무상 지원했다.
한국 정부가 이란에 인도적 물품을 지원하겠다는 뜻을 충분히 밝혔고 이 약속을 실행했음에도 이 신문이 이 문제를 거론한 것은 한국에 동결된 거액의 원유 수출대금을 사용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에테마드는 "미국의 제재를 두려워하는 한국 회사들의 사정은 이해하지만 조금이라도 이란과 교역했던 지난 2012년 미국의 대이란 제재 때와는 다르다"라며 "한국의 미국에 대한 정치·안보 의존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다른 면에 실은 이란 금융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이 이란의 원유 수출대금을 교역에 쓰지 못하는 불가피한 사정을 한국과 미국의 관계를 배경으로 해설했다. 익명을 요구한 이란 정치평론가는 연합뉴스에 "미국의 제재와 유가 폭락으로 이란의 외화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라며 "이번 기사는 한국의 중요성을 잘 아는 이란이 한국 정부에 미국 정부를 적극 설득하라고 주문하는 메시지로 보인다"라고 해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