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엘게임즈에선 노동시간 알 수 없다…"밤샘 일해도 기록못해"
입력
수정
'게임사 3번째 노조' 엑스엘리부트 "재량근무제 폐지, 고용 안정"
해마다 직원 수 널뛰어…"지금 안 바꾸면 10년 뒤에도 '크런치' 반복" "게임개발사 직원들이 당연한 권리를 너무 오랫동안 놓고 산 것 아닌가 싶어요. 이제라도 우리 권리를 찾을 때입니다.
20년 넘은 악습을 바꿔야 합니다.
"
게임업계 3번째 노동조합인 '엑스엘 리부트'(민주노총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조 카카오지회 엑스엘게임즈분회) 진창현 분회장은 16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엑스엘 리부트는 한국 게임업계에 만들어진 세 번째 노조다.
2018년 9월 넥슨 노조(스타팅포인트)와 스마일게이트 노조(SG길드)가 창립했고, 2년 만에 엑스엘게임즈 노조가 이달 14일 문을 열었다.
진 분회장은 엑스엘 리부트의 최우선 과제를 묻자 "재량근무제 폐지, 유연근무제 및 출퇴근 기록 시스템 도입, 고용 안정, 전배 시스템 개선"이라고 답했다. 진 분회장에 따르면 엑스엘게임즈에는 출퇴근 시간을 기록하는 시스템이 없다.
오전 9∼11시 사이에 출근하고 9시간 뒤에 퇴근하는 재량근무제를 운영하고 있는데, 9시간이 지나도록 퇴근하지 못하고 야근을 해도 초과근무를 얼마나 했는지 따로 기록할 시스템이 없는 것이다.
진 분회장은 "크런치(신작 출시를 앞두고 야근과 밤샘 근무를 반복하는 게임업계 폐해) 때도 정확히 몇 시간 근무했는지 데이터화시킬 수가 없는 상황"이라며 "일단 출퇴근 시스템을 도입해야 야근비나 보상 휴가 등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2018년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전후로 게임업계에도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이 늘어난 바 있다.
넥슨, 엔씨소프트 등이 유연근무제를 도입하면서 게임 개발 직군의 근로 부담을 경감했다.
엑스엘게임즈에서도 분기별 노사협의회를 열 때마다 노동자 측에서 유연근무제 도입을 요구했지만, 사측에서 '시스템 개발이 늦어진다'며 현재까지 미루고 있다고 한다.
진 분회장은 "출퇴근 시스템을 1년 넘게 개발한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본다"며 "부서별로 야근을 얼마나 하는지, 부당하게 임금을 못 받은 직원은 없는지 등 문제가 발생할까 봐 미루는 게 아닌가 싶다"고 꼬집었다.
게임업계에서는 주로 게임 개발 프로젝트가 엎어질 때 인원 감축 등 노동권 침해가 발생한다.
노조에 따르면 엑스엘게임즈에서도 프로젝트가 접힐 때 희망퇴직을 받거나, 다른 팀으로 옮기도록 하면서 다시 면접을 보게 해 회사에서 내보내는 사례가 있었다.
2015년 370명이었던 직원 수가 2017년 200명대로 줄었다가 현재는 420명일 만큼 인원 변동이 심한 상태다.
진 분회장은 "경영진이 필요에 따라 인력을 내보내고 새로 채용하는 게 습관화돼있다"면서 "권고사직이 진행되는데 동시에 채용 공고가 올라온다.
회사 사정이 정말 어렵다면 그게 가능하겠느냐"고 지적했다.
엑스엘게임즈 사측에서는 노조 설립에 현재 '무대응'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한다.
엑스엘 리부트에는 현재 직원의 10%가량이 가입했다. 진 분회장은 "회사 사정을 생각하지 않고 해를 끼치려는 게 아니라, 노동자로서 정당한 권리를 요구하고자 노조를 만든 것"이라며 "이제라도 노동 환경을 개선하지 않으면 게임업계는 10년 후에도 크런치와 고용 불안을 반복하고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해마다 직원 수 널뛰어…"지금 안 바꾸면 10년 뒤에도 '크런치' 반복" "게임개발사 직원들이 당연한 권리를 너무 오랫동안 놓고 산 것 아닌가 싶어요. 이제라도 우리 권리를 찾을 때입니다.
20년 넘은 악습을 바꿔야 합니다.
"
게임업계 3번째 노동조합인 '엑스엘 리부트'(민주노총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조 카카오지회 엑스엘게임즈분회) 진창현 분회장은 16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엑스엘 리부트는 한국 게임업계에 만들어진 세 번째 노조다.
2018년 9월 넥슨 노조(스타팅포인트)와 스마일게이트 노조(SG길드)가 창립했고, 2년 만에 엑스엘게임즈 노조가 이달 14일 문을 열었다.
진 분회장은 엑스엘 리부트의 최우선 과제를 묻자 "재량근무제 폐지, 유연근무제 및 출퇴근 기록 시스템 도입, 고용 안정, 전배 시스템 개선"이라고 답했다. 진 분회장에 따르면 엑스엘게임즈에는 출퇴근 시간을 기록하는 시스템이 없다.
오전 9∼11시 사이에 출근하고 9시간 뒤에 퇴근하는 재량근무제를 운영하고 있는데, 9시간이 지나도록 퇴근하지 못하고 야근을 해도 초과근무를 얼마나 했는지 따로 기록할 시스템이 없는 것이다.
진 분회장은 "크런치(신작 출시를 앞두고 야근과 밤샘 근무를 반복하는 게임업계 폐해) 때도 정확히 몇 시간 근무했는지 데이터화시킬 수가 없는 상황"이라며 "일단 출퇴근 시스템을 도입해야 야근비나 보상 휴가 등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2018년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전후로 게임업계에도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이 늘어난 바 있다.
넥슨, 엔씨소프트 등이 유연근무제를 도입하면서 게임 개발 직군의 근로 부담을 경감했다.
엑스엘게임즈에서도 분기별 노사협의회를 열 때마다 노동자 측에서 유연근무제 도입을 요구했지만, 사측에서 '시스템 개발이 늦어진다'며 현재까지 미루고 있다고 한다.
진 분회장은 "출퇴근 시스템을 1년 넘게 개발한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본다"며 "부서별로 야근을 얼마나 하는지, 부당하게 임금을 못 받은 직원은 없는지 등 문제가 발생할까 봐 미루는 게 아닌가 싶다"고 꼬집었다.
게임업계에서는 주로 게임 개발 프로젝트가 엎어질 때 인원 감축 등 노동권 침해가 발생한다.
노조에 따르면 엑스엘게임즈에서도 프로젝트가 접힐 때 희망퇴직을 받거나, 다른 팀으로 옮기도록 하면서 다시 면접을 보게 해 회사에서 내보내는 사례가 있었다.
2015년 370명이었던 직원 수가 2017년 200명대로 줄었다가 현재는 420명일 만큼 인원 변동이 심한 상태다.
진 분회장은 "경영진이 필요에 따라 인력을 내보내고 새로 채용하는 게 습관화돼있다"면서 "권고사직이 진행되는데 동시에 채용 공고가 올라온다.
회사 사정이 정말 어렵다면 그게 가능하겠느냐"고 지적했다.
엑스엘게임즈 사측에서는 노조 설립에 현재 '무대응'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한다.
엑스엘 리부트에는 현재 직원의 10%가량이 가입했다. 진 분회장은 "회사 사정을 생각하지 않고 해를 끼치려는 게 아니라, 노동자로서 정당한 권리를 요구하고자 노조를 만든 것"이라며 "이제라도 노동 환경을 개선하지 않으면 게임업계는 10년 후에도 크런치와 고용 불안을 반복하고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