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m 거리두기 불충분할 수도…비말 8m 이상 확산"
입력
수정
영국 연구진 "실내 등 고위험 상황이면 2m 이상 필요"
"환기ㆍ밀집도ㆍ머무는 시간 등 위험 반영해 기준 정해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속에 통상 안전한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으로 여겨지는 2m가 불충분할 수 있다는 영국 감염병 전문가들의 지적이 제기됐다.호흡기 비말은 최대 8m 이상 확산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한 기준보다는 위험도에 따라 기준을 달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영국 옥스퍼드대 니콜라스 존스 박사팀은 최근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 기고한 논문에서 코로나19 감염을 줄이기 위해 각국이 활용하는 물리적 거리두기의 기준인 1∼2m는 시대에 뒤처진, 양분된 호흡기 비말(침방울)의 크기를 기준으로 했다고 지적했다.
말하기, 기침, 재채기 등으로 비말이 어떻게 내뿜어지는지에 관한 연구는 19세기부터 진행됐다.1897년 독일 생물학자 칼 플뤼게는 눈에 보이는 비말을 함유한 병원균 샘플의 거리를 토대로 안전거리 1∼2m를 제시한 바 있다.
최근 연구를 보면 10건 중 8건에서는 수평투영법 등을 활용해 분석했을 때 60㎛(100만분의 1m) 이상 비말이 2m 이상 확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연구에서는 확산한 비말이 6∼8m 떨어진 곳에서도 감지됐다.이는 코로나19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농축된 형태로 1∼2m 이상 확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SARS-CoV-1)이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MERS-CoV)의 경우에도 바이러스가 2m 이상 확산했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숨 내쉬기, 노래 부르기, 기침, 재채기는 호흡기 비말을 포함한 따듯하고 촉촉하고 고운동량 가스구름을 형성해 보통의 공기 순환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농축된 채로 머물러, 몇초 만에 7∼8m 이상 확산할 수 있다.조깅이나 다른 운동을 할 때는 헐떡거리며 격렬히 숨을 내쉬기 때문에 주기적인 숨 내쉬기보다 고운동량인 기침에 가깝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실 내 실험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 입자는 공기로 운반되는 샘플에 최대 16시간 동안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진은 강조했다.
연구진은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은 위험의 수준을 반영했을 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환기가 잘 안 되는 실내이거나 밀집도가 높거나, 접촉 시간이 길거나,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고위험 상황에서는 2m 이상 사회적 거리두기와 머무는 시간 최소화가, 이보다 위험도가 낮으면 덜 엄격한 거리두기가 적절하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연구진은 "바이러스 입자의 확산은 공기 흐름을 포함한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면서 "기침을 하거나 소리를 지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2m 이상 확산할 수 있는 만큼,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은 환기, 밀집도, 머무는 시간 등의 위험을 반영해 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한편, 영국 응급과학자문그룹(SAGE)은 1m 사회적 거리두기를 했을 때 코로나19 전염 가능성이 2m 거리두기를 했을 때보다 2∼10배 상승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세계보건기구(WHO) 분석에 따르면 1m 이하의 물리적 거리두기는 전염위험을 12.8%로 낮췄고, 1m 이상은 2.6%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환기ㆍ밀집도ㆍ머무는 시간 등 위험 반영해 기준 정해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속에 통상 안전한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으로 여겨지는 2m가 불충분할 수 있다는 영국 감염병 전문가들의 지적이 제기됐다.호흡기 비말은 최대 8m 이상 확산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한 기준보다는 위험도에 따라 기준을 달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영국 옥스퍼드대 니콜라스 존스 박사팀은 최근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 기고한 논문에서 코로나19 감염을 줄이기 위해 각국이 활용하는 물리적 거리두기의 기준인 1∼2m는 시대에 뒤처진, 양분된 호흡기 비말(침방울)의 크기를 기준으로 했다고 지적했다.
말하기, 기침, 재채기 등으로 비말이 어떻게 내뿜어지는지에 관한 연구는 19세기부터 진행됐다.1897년 독일 생물학자 칼 플뤼게는 눈에 보이는 비말을 함유한 병원균 샘플의 거리를 토대로 안전거리 1∼2m를 제시한 바 있다.
최근 연구를 보면 10건 중 8건에서는 수평투영법 등을 활용해 분석했을 때 60㎛(100만분의 1m) 이상 비말이 2m 이상 확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연구에서는 확산한 비말이 6∼8m 떨어진 곳에서도 감지됐다.이는 코로나19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농축된 형태로 1∼2m 이상 확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SARS-CoV-1)이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MERS-CoV)의 경우에도 바이러스가 2m 이상 확산했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숨 내쉬기, 노래 부르기, 기침, 재채기는 호흡기 비말을 포함한 따듯하고 촉촉하고 고운동량 가스구름을 형성해 보통의 공기 순환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농축된 채로 머물러, 몇초 만에 7∼8m 이상 확산할 수 있다.조깅이나 다른 운동을 할 때는 헐떡거리며 격렬히 숨을 내쉬기 때문에 주기적인 숨 내쉬기보다 고운동량인 기침에 가깝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실 내 실험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 입자는 공기로 운반되는 샘플에 최대 16시간 동안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진은 강조했다.
연구진은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은 위험의 수준을 반영했을 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환기가 잘 안 되는 실내이거나 밀집도가 높거나, 접촉 시간이 길거나,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고위험 상황에서는 2m 이상 사회적 거리두기와 머무는 시간 최소화가, 이보다 위험도가 낮으면 덜 엄격한 거리두기가 적절하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연구진은 "바이러스 입자의 확산은 공기 흐름을 포함한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면서 "기침을 하거나 소리를 지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2m 이상 확산할 수 있는 만큼,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은 환기, 밀집도, 머무는 시간 등의 위험을 반영해 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한편, 영국 응급과학자문그룹(SAGE)은 1m 사회적 거리두기를 했을 때 코로나19 전염 가능성이 2m 거리두기를 했을 때보다 2∼10배 상승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세계보건기구(WHO) 분석에 따르면 1m 이하의 물리적 거리두기는 전염위험을 12.8%로 낮췄고, 1m 이상은 2.6%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