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중 바이러스, 신속·정확 측정기술 개발…코로나 적용 기대
입력
수정
UNIST 장재성 교수팀, 정전기력과 면역 반응 이용…독감 실험으로 효율 증명 국내 연구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처럼 공기 중에 떠다니는 바이러스 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방역과 의료 등 공공안전 분야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재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전기적 힘(전기장)을 이용해 공기 중 바이러스를 농축할 수 있는 장치와 농축된 바이러스 양을 신속히 측정할 수 있는 검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공기 중 바이러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하려면 바이러스가 포함된 채 떠다니는 입자(비말 등)를 잘 잡아내는 채집기와 채집된 바이러스를 빠르게 검출하는 센서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채집 방식은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것과 유사해서, 채집할 수 있는 입자 크기에 한계가 있고 채집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손상됐다.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도 있었다.
장 교수팀은 정전기력을 이용해 공기 중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채집하고, 면역(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해 빠르게 검사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방식은 비말은 물론 1㎛(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미만의 작은 입자로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또 채집 과정에서 입자가 용액에 부딪혔을 때 충격을 최소화해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훼손시키지 않은 채 더 많이 채집할 수 있다.
채집된 샘플은 가볍고 저렴한 '종이 면역 센서'를 이용해 검사한다. 임신 진단 키트처럼 신속하게 바이러스를 검출하면서도, 정확도는 최고 수준으로 높였다. 장 교수는 "입자를 가속한 뒤 고체 배지나 액체에 충돌 시켜 바이러스를 채집하는 관성 충돌 방식은 0.03∼0.1㎛의 미세한 입자는 10%도 못 잡지만, 이번에 개발한 방식은 1㎛ 미만 입자도 99% 이상 잡아낸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해 A형 독감 바이러스(A H1N1)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했는데, 바이러스 채집 효율과 측정 정확도 모두 뛰어난 수준을 보였다.
장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독감 바이러스에 대해서만 이뤄졌지만, 비슷한 크기·구조·외피를 가진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라면서 "현재 더 많은 공기를 뽑아 들일 수 있는 농축 장치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환경공학 분야 국제 저널인 '환경 과학과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24일 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연합뉴스
장재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전기적 힘(전기장)을 이용해 공기 중 바이러스를 농축할 수 있는 장치와 농축된 바이러스 양을 신속히 측정할 수 있는 검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공기 중 바이러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하려면 바이러스가 포함된 채 떠다니는 입자(비말 등)를 잘 잡아내는 채집기와 채집된 바이러스를 빠르게 검출하는 센서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채집 방식은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것과 유사해서, 채집할 수 있는 입자 크기에 한계가 있고 채집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손상됐다.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도 있었다.
장 교수팀은 정전기력을 이용해 공기 중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채집하고, 면역(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해 빠르게 검사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방식은 비말은 물론 1㎛(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미만의 작은 입자로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또 채집 과정에서 입자가 용액에 부딪혔을 때 충격을 최소화해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훼손시키지 않은 채 더 많이 채집할 수 있다.
채집된 샘플은 가볍고 저렴한 '종이 면역 센서'를 이용해 검사한다. 임신 진단 키트처럼 신속하게 바이러스를 검출하면서도, 정확도는 최고 수준으로 높였다. 장 교수는 "입자를 가속한 뒤 고체 배지나 액체에 충돌 시켜 바이러스를 채집하는 관성 충돌 방식은 0.03∼0.1㎛의 미세한 입자는 10%도 못 잡지만, 이번에 개발한 방식은 1㎛ 미만 입자도 99% 이상 잡아낸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해 A형 독감 바이러스(A H1N1)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했는데, 바이러스 채집 효율과 측정 정확도 모두 뛰어난 수준을 보였다.
장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독감 바이러스에 대해서만 이뤄졌지만, 비슷한 크기·구조·외피를 가진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라면서 "현재 더 많은 공기를 뽑아 들일 수 있는 농축 장치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환경공학 분야 국제 저널인 '환경 과학과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24일 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