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균형뉴딜`로 지역혁신 中企 100곳 육성...1조4천억 투입
입력
수정
정부가 비수도권의 혁신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지역주력산업 48개를 지역균형 뉴딜과 연계해 개편하고, 관련 기업에 기술개발과 사업화 자금 1조4천억원을 투자한다.
또한 `지역뉴딜 벤처펀드`를 권역별로 만들고 규제자유특구도 뉴딜 분야로 확대 지정해 디지털·그린 혁신 거점을 조성한다.이를 바탕으로 오는 2025년까지 지역의 대표 앵커기업인 `지역혁신 선도기업` 100곳을 육성하고, 8만개의 일자리가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6일 열린 `제2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지역균형 뉴딜 촉진을 위한 지역혁신 중소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지역주력산업, 지역균형 뉴딜과 연계· 개편 = 전략에 따르면 우선 기존의 48개 산업 규모는 유지하되 기존산업을 대체 또는 영역 확장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뉴딜 관련 20개 산업, 그린 뉴딜 관련 19개 산업을 선정했으며 기존 산업 9개의 고부가가치화를 병행 추진하기로 했다.예컨대 세종의 `스마정밀의료`는 강원도의 `스마트시티 조성` 과제로, 강원의 `레저휴양지식서비스`는 부산의 ICT융합헬스(디지털헬스케어 규제특구)로 대체됐다.
지능정보서비스(부산), ICT융합헬스(강원), 지능형로봇(대전), 스마트시티(세종), 지능형IT부품(충북) 등 디지털 뉴딜 관련 지역주력산업은 주로 기계·바이오 등 업종에 ICT, 5G·빅데이터·인공지능 등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했다.
이를 통해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을 촉진하고, 블록체인을 활용한 프로토콜 경제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중기부는 기대했다.또한 저탄소지능형소재부품(전남), 그린모빌리티(울산), 고효율에너지시스템(대구) 등 그린 뉴딜 관련 지역주력산업은 주로 에너지·미래차 분야 위주로 확대했으며, 이를 중심으로 저탄소·친환경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뉴딜 관련 산업 외에도 차세대디스플레이(충남), 친환경융합섬유소재(경북), 탄소복합소재(전북)와 같이 지역의 기반산업도 고부가치화해 그동안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육성해온 전통제조 등 중소기업의 성장도 촉진할 계획이다.
▲1조4천억 투입…지역균형 뉴딜기업 키운다 = 중기부는 지원지역균형 뉴딜기업 지원을 위해 지역에 있는 민간·앵커공공기관 등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지역뉴딜 벤처펀드`도 권역별로 조성한다.현재 운용 중인 광주·전남 한국전력 모펀드를 벤치마킹해 일부지역에 시범조성 후 확대할 예정이며, 권역별 모펀드를 기반으로 다양한 자펀드를 조성 후 지역 혁신기업, 규제자유특구 내 기업 및 유망산업 분야 중소·벤처기업 등에 투자한다.
또한 정부·지자체가 매칭 방식으로 내년부터 오는 2025년까지 5년간 지역주력산업 영위기업에 1조 4천억원 규모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 자금도 지원한다.
정부는 지역주력산업 육성 등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예산을 최대 24억원까지 매년 차등 지원하되, 기업에 대한 지원목표와 방식은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따라 주도적으로 설계해 추진한다.
지역주력산업 기업 중 성장 가능성 높은 기업은 별도로 선정해 기술개발 및 사업화 자금을 패키지 지원해 2025년까지 100곳을 지역의 성장을 주도하는 혁신 선도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규제자유특구, 뉴딜 분야로 확대 = 정부는 규제자유특구 신규지정 시 디지털·그린 등 뉴딜 분야 특구 지정을 확대하고, 특구기업의 실증 종료 후 성과 창출을 위해 약 350억원 규모의 규제자유특구 전용펀드, 500억원 규모의 융자자금, 조달혁신 시제품 지정 등 정부지원사업을 연계해 지원하기로 했다.
지역 혁신 창업기업의 집적·성장을 위해 그린 스타트업 타운, 스타트업 파크 등 창업거점을 조성하고, 제조 중소기업 밀집지역에 지역앵커기업과 창업·중소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스마트 혁신지구도 구축한다.
지역균형뉴딜 촉진 협업체계도 구축한다. 지역별 19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센터별 특화기능을 활용해 혁신 창업기업을 육성하고, 테크노파크가 이를 이어받아 테크노파크 입주, 인력·장비 제공, 기술애로 해소 등을 통해 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한다.
아울러 정부와 지자체,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하는 지역중소기업 정책협의회 및 지원협의회를 구성하고, 지역중소기업 정책을 총괄함으로써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지역균형 뉴딜이 지역에서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에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며 "앞으로 지역주력산업과 관련 기업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하는 선도기업을 육성하고 국가균형발전 달성에 일조하겠다"고 말했다.전민정기자 jmj@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또한 `지역뉴딜 벤처펀드`를 권역별로 만들고 규제자유특구도 뉴딜 분야로 확대 지정해 디지털·그린 혁신 거점을 조성한다.이를 바탕으로 오는 2025년까지 지역의 대표 앵커기업인 `지역혁신 선도기업` 100곳을 육성하고, 8만개의 일자리가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6일 열린 `제2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지역균형 뉴딜 촉진을 위한 지역혁신 중소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지역주력산업, 지역균형 뉴딜과 연계· 개편 = 전략에 따르면 우선 기존의 48개 산업 규모는 유지하되 기존산업을 대체 또는 영역 확장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뉴딜 관련 20개 산업, 그린 뉴딜 관련 19개 산업을 선정했으며 기존 산업 9개의 고부가가치화를 병행 추진하기로 했다.예컨대 세종의 `스마정밀의료`는 강원도의 `스마트시티 조성` 과제로, 강원의 `레저휴양지식서비스`는 부산의 ICT융합헬스(디지털헬스케어 규제특구)로 대체됐다.
지능정보서비스(부산), ICT융합헬스(강원), 지능형로봇(대전), 스마트시티(세종), 지능형IT부품(충북) 등 디지털 뉴딜 관련 지역주력산업은 주로 기계·바이오 등 업종에 ICT, 5G·빅데이터·인공지능 등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했다.
이를 통해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을 촉진하고, 블록체인을 활용한 프로토콜 경제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중기부는 기대했다.또한 저탄소지능형소재부품(전남), 그린모빌리티(울산), 고효율에너지시스템(대구) 등 그린 뉴딜 관련 지역주력산업은 주로 에너지·미래차 분야 위주로 확대했으며, 이를 중심으로 저탄소·친환경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뉴딜 관련 산업 외에도 차세대디스플레이(충남), 친환경융합섬유소재(경북), 탄소복합소재(전북)와 같이 지역의 기반산업도 고부가치화해 그동안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육성해온 전통제조 등 중소기업의 성장도 촉진할 계획이다.
▲1조4천억 투입…지역균형 뉴딜기업 키운다 = 중기부는 지원지역균형 뉴딜기업 지원을 위해 지역에 있는 민간·앵커공공기관 등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지역뉴딜 벤처펀드`도 권역별로 조성한다.현재 운용 중인 광주·전남 한국전력 모펀드를 벤치마킹해 일부지역에 시범조성 후 확대할 예정이며, 권역별 모펀드를 기반으로 다양한 자펀드를 조성 후 지역 혁신기업, 규제자유특구 내 기업 및 유망산업 분야 중소·벤처기업 등에 투자한다.
또한 정부·지자체가 매칭 방식으로 내년부터 오는 2025년까지 5년간 지역주력산업 영위기업에 1조 4천억원 규모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 자금도 지원한다.
정부는 지역주력산업 육성 등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예산을 최대 24억원까지 매년 차등 지원하되, 기업에 대한 지원목표와 방식은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따라 주도적으로 설계해 추진한다.
지역주력산업 기업 중 성장 가능성 높은 기업은 별도로 선정해 기술개발 및 사업화 자금을 패키지 지원해 2025년까지 100곳을 지역의 성장을 주도하는 혁신 선도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규제자유특구, 뉴딜 분야로 확대 = 정부는 규제자유특구 신규지정 시 디지털·그린 등 뉴딜 분야 특구 지정을 확대하고, 특구기업의 실증 종료 후 성과 창출을 위해 약 350억원 규모의 규제자유특구 전용펀드, 500억원 규모의 융자자금, 조달혁신 시제품 지정 등 정부지원사업을 연계해 지원하기로 했다.
지역 혁신 창업기업의 집적·성장을 위해 그린 스타트업 타운, 스타트업 파크 등 창업거점을 조성하고, 제조 중소기업 밀집지역에 지역앵커기업과 창업·중소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스마트 혁신지구도 구축한다.
지역균형뉴딜 촉진 협업체계도 구축한다. 지역별 19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센터별 특화기능을 활용해 혁신 창업기업을 육성하고, 테크노파크가 이를 이어받아 테크노파크 입주, 인력·장비 제공, 기술애로 해소 등을 통해 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한다.
아울러 정부와 지자체,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하는 지역중소기업 정책협의회 및 지원협의회를 구성하고, 지역중소기업 정책을 총괄함으로써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지역균형 뉴딜이 지역에서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에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며 "앞으로 지역주력산업과 관련 기업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하는 선도기업을 육성하고 국가균형발전 달성에 일조하겠다"고 말했다.전민정기자 jmj@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