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시선] 코로나 변이 출현에도 스키장 운영하는 스위스
입력
수정
스위스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전파력이 최대 70%까지 강해진 영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여러 건 보고됐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인구 대비 유럽 내 최고 수준인 스위스에서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보건 시스템에 부담이 더해질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공교롭게도 최근 스키 리조트에서 영국인 관광객 수백 명이 '도주'하는 사건까지 발생하면서 이 같은 우려는 더 커졌다.
스키 휴양지로 유명한 베르비에에서 묵고 있던 영국인 200여 명이 숙소를 몰래 빠져나간 것이다. 당국은 "격리 대상자 대다수가 하루 정도는 지침을 지키다가 몰래 도망갔다"면서 현재로서는 이들의 소재가 명확하지 않다고 전했다.
스위스도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변이 바이러스의 유입을 막기 위해 영국발 입국을 제한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별다른 소용이 없었던 것이다.
이는 어느 정도 예견됐던 상황이다. 스위스가 지리적으로 유럽 대륙 한복판에 자리해 이동 인구가 많은 데다 연말연시 휴가 시즌을 맞아 스키 리조트 개장을 강행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봄 1차 물결 당시 오스트리아의 유명 스키 리조트인 이쉬글발 코로나19 확산을 경험한 독일 등 유럽 주요국이 스키장 개장을 반대했지만, 스위스로서는 알프스라는 천혜의 스키 관광 자원을 포기하기 어려웠을 터. 다만 옆나라 오스트리아의 대처와 사뭇 비교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스위스처럼 알프스 산맥을 끼고 있는 오스트리아는 경제 상황을 고려해 스키장을 개장했지만, 방역을 위해 당분간 호텔과 식당의 운영을 금지했다.
사실상 외국인 스키 관광객의 방문을 금지한 셈이다.
그러나 스위스는 스키 리프트나 곤돌라 등의 수용 인원을 3분의 2 수준으로 제한하겠다고만 발표했다.
그 결과 양국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인구가 약 900만 명인 오스트리아의 하루 신규 확진자는 2천 명대지만, 약 860만 명의 스위스는 여전히 4천 명을 훌쩍 넘고 있기 때문이다.
이후 스위스는 레스토랑과 술집의 영업을 한 달 동안 중단하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외국인 관광객의 스키장 방문은 가능한 상태다.
이 같은 느슨한 방역 대책에 전문가들은 쓴소리를 내놨다.
데이비드 나바로 세계보건기구(WHO) 코로나19 특사는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장기적으로 하락 추세를 보일 때까지 규제 완화를 기다려야 했다"며 스위스의 스키장 개장 허용을 비난했다. 이러한 지적에 스위스 정부도 일견 동의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알랭 베르세 보건장관은 지난해 12월 26일 "(실책이) 여러 개 있었다"며 1차 물결 이후 상황을 낙관해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제한책을 너무 많이 완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여름에 최악의 상황이 끝났다는 느낌이 들었다.
우리는 (긴장을) 너무 풀었다"며 그 대가가 너무 컸다고 인정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그런데도 당국은 특별한 추가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연방 정부는 지난해 12월 30일 내놓은 성명에서 "높은 수준의 감염과 새로운 바이러스 변이 출현이 여전히 우려스럽다"면서도 "(조처를) 더 강화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발표했다. WHO가 언급한 대로 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상황에서 실책 인정은 한 번으로 족하지 않을까. /연합뉴스
전파력이 최대 70%까지 강해진 영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여러 건 보고됐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인구 대비 유럽 내 최고 수준인 스위스에서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보건 시스템에 부담이 더해질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공교롭게도 최근 스키 리조트에서 영국인 관광객 수백 명이 '도주'하는 사건까지 발생하면서 이 같은 우려는 더 커졌다.
스키 휴양지로 유명한 베르비에에서 묵고 있던 영국인 200여 명이 숙소를 몰래 빠져나간 것이다. 당국은 "격리 대상자 대다수가 하루 정도는 지침을 지키다가 몰래 도망갔다"면서 현재로서는 이들의 소재가 명확하지 않다고 전했다.
스위스도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변이 바이러스의 유입을 막기 위해 영국발 입국을 제한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별다른 소용이 없었던 것이다.
이는 어느 정도 예견됐던 상황이다. 스위스가 지리적으로 유럽 대륙 한복판에 자리해 이동 인구가 많은 데다 연말연시 휴가 시즌을 맞아 스키 리조트 개장을 강행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봄 1차 물결 당시 오스트리아의 유명 스키 리조트인 이쉬글발 코로나19 확산을 경험한 독일 등 유럽 주요국이 스키장 개장을 반대했지만, 스위스로서는 알프스라는 천혜의 스키 관광 자원을 포기하기 어려웠을 터. 다만 옆나라 오스트리아의 대처와 사뭇 비교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스위스처럼 알프스 산맥을 끼고 있는 오스트리아는 경제 상황을 고려해 스키장을 개장했지만, 방역을 위해 당분간 호텔과 식당의 운영을 금지했다.
사실상 외국인 스키 관광객의 방문을 금지한 셈이다.
그러나 스위스는 스키 리프트나 곤돌라 등의 수용 인원을 3분의 2 수준으로 제한하겠다고만 발표했다.
그 결과 양국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인구가 약 900만 명인 오스트리아의 하루 신규 확진자는 2천 명대지만, 약 860만 명의 스위스는 여전히 4천 명을 훌쩍 넘고 있기 때문이다.
이후 스위스는 레스토랑과 술집의 영업을 한 달 동안 중단하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외국인 관광객의 스키장 방문은 가능한 상태다.
이 같은 느슨한 방역 대책에 전문가들은 쓴소리를 내놨다.
데이비드 나바로 세계보건기구(WHO) 코로나19 특사는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장기적으로 하락 추세를 보일 때까지 규제 완화를 기다려야 했다"며 스위스의 스키장 개장 허용을 비난했다. 이러한 지적에 스위스 정부도 일견 동의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알랭 베르세 보건장관은 지난해 12월 26일 "(실책이) 여러 개 있었다"며 1차 물결 이후 상황을 낙관해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제한책을 너무 많이 완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여름에 최악의 상황이 끝났다는 느낌이 들었다.
우리는 (긴장을) 너무 풀었다"며 그 대가가 너무 컸다고 인정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그런데도 당국은 특별한 추가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연방 정부는 지난해 12월 30일 내놓은 성명에서 "높은 수준의 감염과 새로운 바이러스 변이 출현이 여전히 우려스럽다"면서도 "(조처를) 더 강화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발표했다. WHO가 언급한 대로 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상황에서 실책 인정은 한 번으로 족하지 않을까.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