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취약계층 학생 건강·학력 약화…발달 퇴행도 나타나"
입력
수정
"원격·대면 수업 결합 고려한 교육 체제 고민해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지난해 학교에서 등교와 원격 수업을 병행하며 사회적·교육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놓인 취약계층 학생들이 겪는 부작용이 심각해졌다는 진단이 나왔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발달 과정이 후퇴하는 퇴행 문제를 보이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7일 김경애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연구실장 등이 작성한 '코로나19 확산 시기, 불리한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보면 "코로나19 시기에 교육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있는 학생은 인스턴트 음식 섭취 증가, 운동 부족, 수면 패턴 변화 등으로 건강 약화를 경험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대인관계 축소와 미디어 몰입에 따른 정서적 불안정, 비대면 수업 부적응 등으로 학력 저하도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등 4개 지역 학생 13명과 학부모(보호자) 11명, 학교와 교육청 관계자 29명, 지역기관·지방자치단체 관계자 14명 등 총 67명과 면담하고 관련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진단을 내놨다.
교육적 환경이 불리한 취약계층 학생들의 경우 부모의 경제력 약화와 스트레스 증가, 교사·돌봄 인력과의 접촉 부족, 또래와의 학습 상호 작용 부족, 온라인 학습 지원 환경 부족 등 주변 환경이 코로나19 상황에서 더욱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코로나19 시기를 겪으면서 불리한 학생의 범위가 넓어지고 불리함의 정도도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코로나19로 실업을 경험하거나 실직 위기에 있는 학부모를 둔 학생, 지적 장애 학부모를 둔 학생, 재택근무를 할 수 없는 학부모를 둔 학생 등이 불리한 학생의 범주로 편입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학교 폐쇄나 등교 수업 연기로 공교육의 기능이 약화하고, 교육에서 가정 배경의 힘이 강화되며 불리한 학생의 불리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취약계층 학생들의 역량 수준이 떨어지면서 현장에서는 발달 과정에서 현상 유지도 되지 않는 퇴행까지 일어났다는 보고도 나왔다. 교직원 면담 결과 초등학교 2학년 학생 중에는 1학년 때보다도 행동이 어색하고 어눌해지거나 1학년 때 익힌 한글을 거의 잊고 나타난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도 과거보다 덧셈하는 데 시간이 한참 걸리거나 구구단을 잊어버린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취약계층 학생들에게는 사교육 등 기댈 곳이 마땅하지 않아 학교가 전부였는데, 휴교, 원격 수업 등이 이어지며 부작용이 심각해지고 있다고 원인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학교 밖에서도 원활하게 학습할 수 있는 업데이트된 스마트 기기, 프린터, 학습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 공적 학습 공간이 보장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원격교육을 힘들어하는 학생들을 고려해 원격·대면 교육을 어떻게 접목할 수 있을지 '디지로그'(디지털과 아날로그,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결합) 교육 체제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7일 김경애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연구실장 등이 작성한 '코로나19 확산 시기, 불리한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보면 "코로나19 시기에 교육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있는 학생은 인스턴트 음식 섭취 증가, 운동 부족, 수면 패턴 변화 등으로 건강 약화를 경험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대인관계 축소와 미디어 몰입에 따른 정서적 불안정, 비대면 수업 부적응 등으로 학력 저하도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등 4개 지역 학생 13명과 학부모(보호자) 11명, 학교와 교육청 관계자 29명, 지역기관·지방자치단체 관계자 14명 등 총 67명과 면담하고 관련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진단을 내놨다.
교육적 환경이 불리한 취약계층 학생들의 경우 부모의 경제력 약화와 스트레스 증가, 교사·돌봄 인력과의 접촉 부족, 또래와의 학습 상호 작용 부족, 온라인 학습 지원 환경 부족 등 주변 환경이 코로나19 상황에서 더욱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코로나19 시기를 겪으면서 불리한 학생의 범위가 넓어지고 불리함의 정도도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코로나19로 실업을 경험하거나 실직 위기에 있는 학부모를 둔 학생, 지적 장애 학부모를 둔 학생, 재택근무를 할 수 없는 학부모를 둔 학생 등이 불리한 학생의 범주로 편입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학교 폐쇄나 등교 수업 연기로 공교육의 기능이 약화하고, 교육에서 가정 배경의 힘이 강화되며 불리한 학생의 불리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취약계층 학생들의 역량 수준이 떨어지면서 현장에서는 발달 과정에서 현상 유지도 되지 않는 퇴행까지 일어났다는 보고도 나왔다. 교직원 면담 결과 초등학교 2학년 학생 중에는 1학년 때보다도 행동이 어색하고 어눌해지거나 1학년 때 익힌 한글을 거의 잊고 나타난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도 과거보다 덧셈하는 데 시간이 한참 걸리거나 구구단을 잊어버린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취약계층 학생들에게는 사교육 등 기댈 곳이 마땅하지 않아 학교가 전부였는데, 휴교, 원격 수업 등이 이어지며 부작용이 심각해지고 있다고 원인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학교 밖에서도 원활하게 학습할 수 있는 업데이트된 스마트 기기, 프린터, 학습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 공적 학습 공간이 보장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원격교육을 힘들어하는 학생들을 고려해 원격·대면 교육을 어떻게 접목할 수 있을지 '디지로그'(디지털과 아날로그,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결합) 교육 체제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