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70% 접종땐 전파력 2에도 집단면역"…변수는 '변이확산'(종합)

집단면역 차질 우려에 "백신수급관리 강화…접종률-변이관리 국민협조 필요"
아스트라제네카 효능 논란엔 "안전성·효능 확인된 백신" 재차 강조
이번 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개시되는 가운데 정부는 전 국민의 70% 이상이 접종할 경우 코로나19가 확산하더라도 대응이 가능한 수준의 집단면역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집단면역 달성의 3대 변수로 접종률, 백신공급 상황과 더불어 항체 형성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해외유입 변이 바이러스를 꼽으면서 접종률 제고와 변이 차단을 위한 국민적 협조를 요청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22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정부가 11월 목표로 제시한 집단면역 형성의 판단 기준을 묻는 질의에 "아직 어느 정도의 항체 양성률을 유지해야 집단면역을 형성하는지에 대해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다"고 전제하면서도 "70% 접종률을 얘기했을 때는 감염 재생산지수 2를 포함했을 때 달성이 가능한 것으로 일단 판단을 한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여러 백신의 평균적인 항체 형성률을 80%라고 가정할 경우 국민 70%가 접종하면 실제 항체 양성률은 56% 정도가 되는 만큼 감염 재생산지수가 2 이상인 유행 상황에서도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는 게 정 본부장의 설명이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환자 1명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많은 타인에게 바이러스를 옮기는지 보여주는 지수로 1 미만이면 '유행 억제', 1 이상이면 '유행 확산'을 의미한다.

2월 3주차(2.14∼2.20) 감염 재생산지수는 1.12다.
다만 정 본부장의 이 같은 설명은 어디까지나 백신의 항체 형성률이 80%인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실제 독감백신 등 다른 종류의 백신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 백신 역시 접종한다고 해서 누구나 100% 항체가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연령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항체 형성 정도가 다를 수 있다.

각 제약사에서 밝힌 백신의 일률적인 효능과는 별개로 국민들이 백신을 맞은 후 항체 형성률이 얼마나 되는지가 집단면역 형성 여부의 관건이 되는 셈이다. 정 본부장도 "어느 정도까지 항체 양성률이 있어야 집단면역 형성이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목표치나 재생산지수 등이 고려돼야 기준 자체가 설정될 수 있을 것"이라며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계속 목표치에 대한 것은 조정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백신 접종 초기에는 백신 종류별로 약 200명 정도 이상의 접종자를 대상으로 항체가 형성되는 비율, 중화항체(바이러스를 방어할 수 있는 항체)가 형성되는 비율과 그 항체가 얼마나 유지되는지에 대한 자체적인 조사 연구를 계획 중"이라고 덧붙였다.

당국은 11월 집단면역 형성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일각의 관측에 대해서는 실제로 '변수'가 있다며 여지를 뒀다.

주요 변수는 백신 접종률, 백신 공급 상황, 변이 바이러스 확산 추이 등 세 가지다.

정 본부장은 "백신을 가능한 한 조기에 확보해서 공급받을 수 있게끔 백신 수급관리를 강화하는 게 필요하다"며 "의료계와 전문가, 국민들께서 다 같이 접종률을 높일 수 있게끔 그런 신뢰와 소통을 기반으로 접종률 관리를 충실히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남아공발(發) 변이 바이러스처럼 백신이나 치료제에 회피하는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굉장히 큰 경각심을 가지고 있다"며 "해외 입국자가 충실하게 자가격리를 잘 지켜서 가족이나 주변에 전파시키지 않도록 도와줄 것을 다시 한번 요청드린다"고 당부했다. 한편 정 본부장은 오는 26일 접종이 시작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접종 효과' 논란과 관련해 "아직까지도 효능에 대한 문제 제기들이 상당수 있는 것 같다"며 "접종계획 발표 시 말씀드린 것처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안전성과 효능이 확인된 백신"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