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속연수 따라 임금인상' 호봉제 기업 54.9%…3.8%P 감소

직무급 확산은 느려…노동부, 직무평가 기준 자료 발간
저성장 고령화 시대 임금체계로 부적합하다는 지적을 받는 호봉제를 운용 중인 기업이 아직도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00인 이상 사업장 가운데 호봉제를 운용하는 곳은 54.9%로 조사됐다.

호봉제 사업장 비율은 현 정부 첫해인 2017년 60.3%, 2018년 59.5%, 2019년 58.7%로 눈에 띄는 변동이 없다가 지난해 3.8%포인트 하락했다.

노동부는 작년 1월 '직무·능력 중심의 임금체계 확산 지원 방향'을 발표하며 호봉제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에 시동을 건 바 있다. 호봉제는 근속 연수에 따라 임금이 오르는 연공급 임금체계로 과거 고도성장기에 노동자의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역할을 했지만, 저성장 고령화 시대에는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과도하게 늘린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에 따라 직무 난이도, 업무 수행 능력, 맡은 역할의 가치 등을 기준으로 하는 직무급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직무급은 '동일 가치 노동 동일 임금'의 원칙에도 부합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연공급 임금체계의 직무급 전환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우선 임금 삭감을 우려하는 노조의 반발이 만만치 않다.

직무급을 도입하려면 개별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매기는 직무 평가가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객관성과 공정성 논란도 일 수 있다. 노동부는 직무 중심의 임금체계 도입을 위한 가이드라인 등을 제시함으로써 산업 현장의 자율적인 임금체계 전환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임금체계 전환에 활용할 수 있는 '직무평가도구'도 개발·보급 중이다.

직무평가도구는 개별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매기는 기준을 가리킨다.

노동부는 보건의료, 은행, 정보기술(IT) 등 9개 업종의 직무평가도구를 개발했는데 최근 건설업과 조선업을 추가했다.

노동부는 은행업과 철강업의 직무평가도구 활용 매뉴얼과 업종별 직무평가도구 활용 모범 사례집도 발간했다. 이들 자료는 정부 포털 사이트 '임금직무정보 시스템(www.wag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