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15주 만에 0.1% 상승…2·4대책 직전으로 돌아가
입력
수정
부동산원 조사…거래절벽에도 재건축 기대감으로 집값 강세 강화
강남3구 재건축 단지 강세 계속…규제지역 인근 '풍선효과'도
서울 전셋값 3주 횡보…서초구, 반포 재건축 이주수요로 상승폭 키워
서울 아파트값이 15주 만에 0.1%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재건축 등 개발 기대감이 여전해 거래절벽 상황에서도 집값이 내리지 않으며 가격 강세가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부동산원은 5월 셋째 주(17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값이 0.10% 올라 지난주(0.09%)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고 20일 밝혔다.
2·4 주택 공급대책 발표 직전인 2월 첫째 주(0.10%) 이후 15주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0.1%대 상승률도 15주 만에 처음이다. 서울 아파트값은 올해 1월 1주 0.06%에서 2월 1주 0.10%로 매주 상승률이 높아지다가 수도권 신도시 추가 공급 계획이 담긴 2·4대책 발표 직후(2월 2주) 0.09%로 오름폭이 줄기 시작해 4월 1주엔 0.05%까지 상승 폭을 줄였다.
그러나 4·7 보궐선거 전후로 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감이 커지면서 4월 2주 0.07%로 다시 오름폭을 키웠고 매주 상승세가 이어져 이번 주 0.10%까지 올라 'V'자 형태로 반등했다. 가격 상승은 재건축·주요 단지가 주도하고 있다.
서울시는 선거 직후 과열 움직임이 나타난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동의 주요 재건축·재개발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었지만, 이들 단지에서 거래는 감소했으나 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노원구가 0.21% 올라 6주 연속 서울에서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피한 노원구는 재건축 추진 단지와 중저가 단지를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올랐다. 강남권 재건축 단지의 가격 상승도 계속됐다.
압구정동을 규제로 묶은 '풍선효과'로 반포·서초동 등으로 매수세가 옮겨가면서 서초구가 0.20% 올라 노원구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송파구(0.15%→0.16%)는 잠실·가락·풍납동 재건축 주요 단지 중심으로, 강남구(0.13%→0.13%)는 학군 수요가 높은 대치동과 압구정·도곡동 위주로 올랐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여의도동이 있는 영등포구는 신길·문래동 역세권 단지 위주로 올라 0.10%에서 0.12%로 상승 폭을 키웠고, 목동이 있는 양천구는 규제를 피한 단지와 인근 단지 위주로 오르며 지난주에 이어 0.10% 상승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가 0.31%에서 0.32%로 상승 폭을 키웠다.
시흥시(0.86%)는 하중·하상동 중저가 단지 위주로, 안산(0.70%)·의왕시(0.69%)는 교통 호재가 있는 역세권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오산(0.69%)·평택(0.68%)·군포시(0.65%)도 개발사업 기대감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올랐다.
인천은 0.53%에서 0.47%로 오름폭이 줄었다.
부평구(0.52%)와 미추홀구(0.51%), 연수구(0.49%) 등의 상승세가 이어졌다.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는 0.25%에서 0.23%로 상승 폭이 줄었다.
광주가 0.17%에서 0.18%로 상승 폭을 소폭 키웠고, 부산(0.29%→0.29%)은 횡보했다.
대전(0.30%→0.26%)과 대구(0.26%→0.23%), 울산(0.14%→0.12%)은 오름폭이 줄었다.
세종은 이번 주 -0.10%로, 2019년 10월 4주 이후 81주 만에 하락으로 전환했다.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은 0.13%에서 0.14%로 상승 폭이 소폭 확대됐다.
서울은 0.03%로, 수도권은 0.12%로 각각 3주 동안 횡보했다.
지방은 0.14%에서 0.15%로 오름폭이 소폭 커졌다.
수도권에서 인천은 지난주와 같은 0.33%를 기록했고, 경기는 0.13%에서 0.12%로 상승 폭이 소폭 둔화했다.
서울에서는 양천구(-0.04%)가 6주 연속 하락했고, 종로·마포·금천·강동구는 보합(0.00%)을 기록했다.
다만, 서초구가 반포동 재건축 단지의 이주수요 등 영향으로 0.07% 오르며 3주 연속(0.00%→0.01%→0.04%→0.07%)으로 상승 폭이 확대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부동산원은 "서울 전세는 정비사업 이주수요가 있거나 중저가 수요가 있는 일부 단지는 상승했으나 계절적 비수기, 신규 입주 물량, 급등 피로감 등으로 대체로 안정세를 나타내며 상승 폭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강남3구 재건축 단지 강세 계속…규제지역 인근 '풍선효과'도
서울 전셋값 3주 횡보…서초구, 반포 재건축 이주수요로 상승폭 키워
서울 아파트값이 15주 만에 0.1%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재건축 등 개발 기대감이 여전해 거래절벽 상황에서도 집값이 내리지 않으며 가격 강세가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부동산원은 5월 셋째 주(17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값이 0.10% 올라 지난주(0.09%)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고 20일 밝혔다.
2·4 주택 공급대책 발표 직전인 2월 첫째 주(0.10%) 이후 15주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0.1%대 상승률도 15주 만에 처음이다. 서울 아파트값은 올해 1월 1주 0.06%에서 2월 1주 0.10%로 매주 상승률이 높아지다가 수도권 신도시 추가 공급 계획이 담긴 2·4대책 발표 직후(2월 2주) 0.09%로 오름폭이 줄기 시작해 4월 1주엔 0.05%까지 상승 폭을 줄였다.
그러나 4·7 보궐선거 전후로 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감이 커지면서 4월 2주 0.07%로 다시 오름폭을 키웠고 매주 상승세가 이어져 이번 주 0.10%까지 올라 'V'자 형태로 반등했다. 가격 상승은 재건축·주요 단지가 주도하고 있다.
서울시는 선거 직후 과열 움직임이 나타난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동의 주요 재건축·재개발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었지만, 이들 단지에서 거래는 감소했으나 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노원구가 0.21% 올라 6주 연속 서울에서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피한 노원구는 재건축 추진 단지와 중저가 단지를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올랐다. 강남권 재건축 단지의 가격 상승도 계속됐다.
압구정동을 규제로 묶은 '풍선효과'로 반포·서초동 등으로 매수세가 옮겨가면서 서초구가 0.20% 올라 노원구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송파구(0.15%→0.16%)는 잠실·가락·풍납동 재건축 주요 단지 중심으로, 강남구(0.13%→0.13%)는 학군 수요가 높은 대치동과 압구정·도곡동 위주로 올랐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여의도동이 있는 영등포구는 신길·문래동 역세권 단지 위주로 올라 0.10%에서 0.12%로 상승 폭을 키웠고, 목동이 있는 양천구는 규제를 피한 단지와 인근 단지 위주로 오르며 지난주에 이어 0.10% 상승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가 0.31%에서 0.32%로 상승 폭을 키웠다.
시흥시(0.86%)는 하중·하상동 중저가 단지 위주로, 안산(0.70%)·의왕시(0.69%)는 교통 호재가 있는 역세권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오산(0.69%)·평택(0.68%)·군포시(0.65%)도 개발사업 기대감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올랐다.
인천은 0.53%에서 0.47%로 오름폭이 줄었다.
부평구(0.52%)와 미추홀구(0.51%), 연수구(0.49%) 등의 상승세가 이어졌다.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는 0.25%에서 0.23%로 상승 폭이 줄었다.
광주가 0.17%에서 0.18%로 상승 폭을 소폭 키웠고, 부산(0.29%→0.29%)은 횡보했다.
대전(0.30%→0.26%)과 대구(0.26%→0.23%), 울산(0.14%→0.12%)은 오름폭이 줄었다.
세종은 이번 주 -0.10%로, 2019년 10월 4주 이후 81주 만에 하락으로 전환했다.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은 0.13%에서 0.14%로 상승 폭이 소폭 확대됐다.
서울은 0.03%로, 수도권은 0.12%로 각각 3주 동안 횡보했다.
지방은 0.14%에서 0.15%로 오름폭이 소폭 커졌다.
수도권에서 인천은 지난주와 같은 0.33%를 기록했고, 경기는 0.13%에서 0.12%로 상승 폭이 소폭 둔화했다.
서울에서는 양천구(-0.04%)가 6주 연속 하락했고, 종로·마포·금천·강동구는 보합(0.00%)을 기록했다.
다만, 서초구가 반포동 재건축 단지의 이주수요 등 영향으로 0.07% 오르며 3주 연속(0.00%→0.01%→0.04%→0.07%)으로 상승 폭이 확대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부동산원은 "서울 전세는 정비사업 이주수요가 있거나 중저가 수요가 있는 일부 단지는 상승했으나 계절적 비수기, 신규 입주 물량, 급등 피로감 등으로 대체로 안정세를 나타내며 상승 폭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