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쿼드' 위상·역할 강화 박차…대중 견제전선에 한국도 언급

캠벨 "중국은 관여 아닌 경쟁 대상"…2차 쿼드 정상회의때 '中일대일로' 맞불 예상
"쿼드 문 열려 있다"며 대중포위망 확대 의지…한국 역할 확대 美주문 커질듯
미국이 중국 견제를 위해 쿼드(Quad)를 중심에 두고 대중 포위망을 구축하려는 우군 확보 전략을 점점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또 중국의 권위주의에 대항한 미국식 민주주의 운영시스템의 전 세계 확산 필요성을 강조하며 한국의 협력도 언급해 인도태평양 지역의 대중 견제에 한국이 동참하라는 미국의 주문은 점점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로이터,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행정부 내 '아시아 차르'로 불리는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인도태평양조정관의 26일(현지시간) 스탠퍼드대 온라인 행사 발언은 매우 직설적 표현으로 중국과 쿼드에 대한 미국의 시각을 여실히 드러낸 자리였다.

그는 대중 관계에 대해 "넓은 의미에서 단순히 '관여'(engagement)로 묘사되는 시대는 끝났다"고 선언했다. 대신 "지배적인 패러다임은 (중국과) 경쟁이 될 것"이라며 "우려해야 할 때가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캠벨 조정관은 "우리는 쿼드에 대해 야심이 있다"며 쿼드를 핵심적 대중 견제 수단으로 키워갈 의지를 분명히 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역시 쿼드가 인도태평양정책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쿼드는 미국, 일본, 인도, 호주의 중국 견제 협의체로, 조 바이든 행정부 취임 후인 지난 3월에는 화상으로 첫 4개국 정상회의가 열릴 정도로 미국이 공을 들이고 있다.

당시 4개국 정상은 연말까지 대면 회담을 열자고 했는데, 캠벨 조정관은 가을 개최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1차 쿼드 정상회의가 대면식을 겸해 전염병 대유행 공동 대응 등에 초점을 맞췄다면, 2차 정상회의는 인프라에 비중을 두겠다는 계획을 소개했다. 이는 중국이 자국 경제영토 확장을 위해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에 맞서, 쿼드 참여국을 중심으로 한 인프라 건설 전략으로 맞불을 놓겠다는 점을 염두에 뒀다는 해석을 낳았다.
그동안 한국의 쿼드 참여 문제가 꾸준히 거론돼 왔다는 점에서 미국이 주도하는 쿼드 강화 움직임은 한국으로서도 예의주시할 부분이다.

캠벨 조정관은 지난 18일 연합뉴스와 서면 인터뷰에서 "현시점에서 쿼드를 확대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26일엔 "쿼드는 가입이 제한되는 소수만의 단체(fancy club)가 아니다"라며 "관여해 우리와 공조하고 싶은 국가들이 있다면 일이 진척되는 동안에도 문은 열려있다"고 말했다.

이 말을 종합하면 지금 당장은 쿼드 자체를 확대할 생각이 없지만 쿼드의 방향이나 의제, 현안에 동조하는 국가를 대상으로 우군을 늘리고 중장기적으로는 쿼드 확대도 가능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실제로 한국 정부는 중국과 관계를 고려해 쿼드 가입에 거리를 두면서도 사안별 협력이 가능하다는 입장에서 백신, 기후변화 등 쿼드 내 워킹그룹 참여를 신중히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캠벨 조정관이 미국식 민주주의를 선택한 국가가 대중국 전선에 합류해야 한다면서 한국을 언급한 부분도 주목된다.

그는 미국식 운영시스템이 미국뿐만 아니라 이 시스템을 활용하는 다른 나라에 의해서도 많은 방식으로 활력을 되찾을 필요가 있다면서 쿼드 회원국인 일본, 호주는 물론 비회원국인 한국과 유럽 국가까지 언급했다. 미국이 단기적으로 한국의 쿼드 참여를 직설적으로 요구하진 않겠지만 대중 포위망 구축에 동맹인 한국의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를 점점 키울 것임을 시사한 대목으로 여겨진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