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26년 저탄소 건물 100만호·전기차 10% 도시로"(종합)
입력
수정
5년간 10조 투자…신축 민간 건물에 제로에너지 설계 의무화
오세훈 "냉난방 연료 가스→전기 전환 검토…핵융합 발전으로 가야" 서울시가 기후 위기에 취약한 대도시 체질 개선에 나선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0일 시청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2026년까지 노후 건물 100만호를 '저탄소 건물'로 바꾸고, 전기차 비율을 10%로 끌어올리는 내용의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5년간(2022∼2026년)의 실행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6년까지 온실가스 연간 배출량을 3천500만t으로 2005년 대비 30% 줄여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한 도시'를 구축한다는 게 서울시의 목표다. 5년간 총 투자액은 10조원에 이른다.
종합계획은 2019년 기준 서울 지역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88%를 차지한 건물(68.7%)과 교통(19.2%) 부문의 배출량 감축에 역점을 뒀다.
시는 우선 올해부터 5년간 노후 건물 100만호를 에너지 효율이 높고, 온실가스 배출은 적은 '저탄소 건물'로 바꾼다. 전환 대상은 주택 및 건물 80만호, 공공주택 12만호, 저소득·차상위 가구 8만호 등이다.
시는 공사비 무이자 융자 지원과 리모델링 등을 통해 건물 에너지효율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연면적 10만㎡ 이상의 신축 민간건물에는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설계를 의무화하고, 2025년에는 1천㎡ 이상 건물로 확대한다. 또한 수열·지열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발굴해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지난해 4.2%에서 2030년 21%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우선 올해 반포지역 재건축에 수열 에너지 시스템을 도입하고, 서울 물연구원과 인재개발원 등 공공건물에 지열에너지를 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태양광은 기존 주택(베란다형)이나 건물보다 도심에 적합한 고효율 태양광 위주로 늘릴 계획이다.
서울시는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 해외 도시에서 시행 예정인 '신축건물 화석연료 사용금지 정책'도 장기적으로 도입을 검토한다.
오세훈 시장은 "전체 가구의 93%가 가스를 냉난방에 사용하고 있는 서울에서도 이를 전기 등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며 "신재생에너지 등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전기요금 인상 등 시민 부담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공이 충분히 고민하고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통 부문에서는 서울 전역의 전기차 충전기를 지난해 2만기에서 2026년 22만기까지 10배 이상으로 늘려 '생활권 5분 충전망'을 갖춘다.
같은 기간 전기차 누적 보급 대수도 5만2천대에서 40만대까지 끌어올린다.
이렇게 되면 서울 전체 자동차 10대 중 1대는 전기차가 된다.
시내버스는 50% 이상, 택시는 20%가 전기차로 교체된다.
시는 수소 충전소도 올해 양재동과 국회에 각 1곳씩 증설할 예정이다.
시는 아울러 2026년까지 도심 곳곳에 월드컵공원 면적의 13배에 이르는 3천100만㎡ 규모의 공원 녹지를 조성·정비한다.
소하천을 생활형 수변공간으로 바꾸는 '지천 르네상스' 사업도 올해 정릉천 등 6곳에서 시작한다.
다양한 물순환 시설을 집약한 '스마트 물순환도시'는 중랑구 상봉동 일대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10곳에 조성한다.
한양도성 내 22개 도로는 차로를 줄이고, 간선도로에는 자전거도로 총 181㎞를 확충한다.
2024년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신종 감염병 발생에 대비해 상설조직인 '24시간 긴급상황센터'를 설치한다.
'일회용품 없는 서울' 조성에도 속도를 내 2026년까지 카페 일회용컵을 퇴출하고, 일회용품과 포장재가 없는 '제로마켓'을 1천개까지 확대한다.
더 나아가 2030년까지 배달앱 등록 외식업체의 일회용 용기와 전 업종의 일회용 봉투를 퇴출한다.
서울시는 이번 종합계획이 2026년까지 약 7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20조원의 생산유발효과와 8조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오 시장은 "석탄이나 LNG(가스)를 연료로 쓰는 발전 구조 하에서 전기 사용량을 늘리는 게 근본적 해법이 될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지난 5년간은 문재인 정부 하에서 어렵고 고통스러운 실험을 통해 원자력 발전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방향이라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는 기간이었다"며 "20년 뒤쯤 핵융합 발전이 가능하게 된다면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
오세훈 "냉난방 연료 가스→전기 전환 검토…핵융합 발전으로 가야" 서울시가 기후 위기에 취약한 대도시 체질 개선에 나선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0일 시청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2026년까지 노후 건물 100만호를 '저탄소 건물'로 바꾸고, 전기차 비율을 10%로 끌어올리는 내용의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5년간(2022∼2026년)의 실행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6년까지 온실가스 연간 배출량을 3천500만t으로 2005년 대비 30% 줄여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한 도시'를 구축한다는 게 서울시의 목표다. 5년간 총 투자액은 10조원에 이른다.
종합계획은 2019년 기준 서울 지역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88%를 차지한 건물(68.7%)과 교통(19.2%) 부문의 배출량 감축에 역점을 뒀다.
시는 우선 올해부터 5년간 노후 건물 100만호를 에너지 효율이 높고, 온실가스 배출은 적은 '저탄소 건물'로 바꾼다. 전환 대상은 주택 및 건물 80만호, 공공주택 12만호, 저소득·차상위 가구 8만호 등이다.
시는 공사비 무이자 융자 지원과 리모델링 등을 통해 건물 에너지효율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연면적 10만㎡ 이상의 신축 민간건물에는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설계를 의무화하고, 2025년에는 1천㎡ 이상 건물로 확대한다. 또한 수열·지열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발굴해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지난해 4.2%에서 2030년 21%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우선 올해 반포지역 재건축에 수열 에너지 시스템을 도입하고, 서울 물연구원과 인재개발원 등 공공건물에 지열에너지를 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태양광은 기존 주택(베란다형)이나 건물보다 도심에 적합한 고효율 태양광 위주로 늘릴 계획이다.
서울시는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 해외 도시에서 시행 예정인 '신축건물 화석연료 사용금지 정책'도 장기적으로 도입을 검토한다.
오세훈 시장은 "전체 가구의 93%가 가스를 냉난방에 사용하고 있는 서울에서도 이를 전기 등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며 "신재생에너지 등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전기요금 인상 등 시민 부담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공이 충분히 고민하고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통 부문에서는 서울 전역의 전기차 충전기를 지난해 2만기에서 2026년 22만기까지 10배 이상으로 늘려 '생활권 5분 충전망'을 갖춘다.
같은 기간 전기차 누적 보급 대수도 5만2천대에서 40만대까지 끌어올린다.
이렇게 되면 서울 전체 자동차 10대 중 1대는 전기차가 된다.
시내버스는 50% 이상, 택시는 20%가 전기차로 교체된다.
시는 수소 충전소도 올해 양재동과 국회에 각 1곳씩 증설할 예정이다.
시는 아울러 2026년까지 도심 곳곳에 월드컵공원 면적의 13배에 이르는 3천100만㎡ 규모의 공원 녹지를 조성·정비한다.
소하천을 생활형 수변공간으로 바꾸는 '지천 르네상스' 사업도 올해 정릉천 등 6곳에서 시작한다.
다양한 물순환 시설을 집약한 '스마트 물순환도시'는 중랑구 상봉동 일대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10곳에 조성한다.
한양도성 내 22개 도로는 차로를 줄이고, 간선도로에는 자전거도로 총 181㎞를 확충한다.
2024년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신종 감염병 발생에 대비해 상설조직인 '24시간 긴급상황센터'를 설치한다.
'일회용품 없는 서울' 조성에도 속도를 내 2026년까지 카페 일회용컵을 퇴출하고, 일회용품과 포장재가 없는 '제로마켓'을 1천개까지 확대한다.
더 나아가 2030년까지 배달앱 등록 외식업체의 일회용 용기와 전 업종의 일회용 봉투를 퇴출한다.
서울시는 이번 종합계획이 2026년까지 약 7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20조원의 생산유발효과와 8조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오 시장은 "석탄이나 LNG(가스)를 연료로 쓰는 발전 구조 하에서 전기 사용량을 늘리는 게 근본적 해법이 될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지난 5년간은 문재인 정부 하에서 어렵고 고통스러운 실험을 통해 원자력 발전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방향이라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는 기간이었다"며 "20년 뒤쯤 핵융합 발전이 가능하게 된다면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