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문대통령 기록물 이관작업에 속도…'사초 논란' 차단 주력

펜·메모지 등 수시로 이관…5월께 마무리 예상
'이지원' 2013년 남북회담 대화록 삭제 논란…靑 "이번엔 문제소지 없을것"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 종료일이 석 달 남짓 앞으로 다가오면서 재임 기간 생성된 기록물의 이관이 어떻게 이뤄질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특히 문 대통령이 지난 2013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과 관련한 '사초(史草) 실종' 논란을 경험했다는 점에서 기록물 이관은 이목을 끄는 소재이기도 하다.

사초 실종 논란의 중심에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사용한 통합업무관리 시스템인 '이지원'이 있었다.

노 전 대통령은 2008년 2월 퇴임을 하면서 이지원 시스템을 그대로 복제해 봉하마을 사저로 옮겨뒀고, 이는 '봉하 이지원'으로 불렸다. 봉하 이지원은 2013년 새누리당(국민의힘의 전신)이 "노 전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당시 NLL(북방한계선) 포기 발언을 했다"고 주장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여야가 함께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도마 위에 올랐다.

당시 여러 차례 시도에도 대통령 기록관에서는 대화록 원본이 발견되지 않았다.

수사에 착수한 검찰은 노 전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회의록 초본 삭제가 이뤄진 것으로 결론을 내리고 백종천 전 청와대 외교안보실장 등을 불구속 기소했다. 하지만 법원은 "회의록 초본은 대통령 기록물이 아니고 당연히 폐기돼야 할 문서"라며 무죄를 선고했고 논란은 일단락됐다.

문 대통령은 2013년 당시 대화록 공개를 먼저 제안하는 등 이 사태를 가장 가까이서 지켜봤다.

기록물을 둘러싼 논란으로 곤욕을 치렀던 만큼, 문 대통령은 자신의 퇴임 후에는 대통령 기록물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벌어지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문 대통령은 임기 시작부터 최근까지 수시로 더는 업무에 사용하지 않는 문서나 직접 사용한 펜, 메모지 등을 기록관에 이관해 왔다고 한다.

특히 지난해 초에 이미 유영민 대통령비서실장을 팀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기록물 이관 작업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퇴임이 가까워져 급하게 이관작업을 할 경우 실수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감안, 충분한 기간을 두고 작업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오는 3월 9일 대선이 치러지고 나면 기록물 이관에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대통령 기록물을 각 실에서 종합한 뒤 분류 작업 등을 거쳐 문 대통령의 임기 종료에 맞춰 이관 작업을 마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 기간에 생산되는 기록물들은 이 과정과 별개로 이관 작업이 수시로 이뤄지게 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2일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퇴임 후 잊혀진 사람이 되고 싶다'고 언급한 바 있다. 모든 기록물을 문제의 소지 없이 이관하고 떠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