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합의 복원 협상, 타결 근접"…미국도 "최종 단계"
입력
수정
프랑스도 "유의미한 의견 수렴" 이란은 16일(현지시간)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 협상이 타결에 근접했다는 입장을 내놨다. AFP·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알리 바게리카니 이란 외무부 차관은 이날 트위터에 "모든 사안이 합의되기 전에는, 어떤 합의도 (완전히) 이뤄졌다고 볼 수 없다"면서도 "수주 간 강도 높은 협상을 진행한 끝에 현재 타결에 가장 근접한 상황"이라고 썼다.
이어 "협상 당사자들은 (상황을) 현실적으로 따지면서 비타협적 태도는 배제하고, 지난 4년간 교훈을 살펴봐야 한다"면서 "중대한 결정을 내릴 시간"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역시 협상이 최종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확인했다. 이날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이제 정말로 핵합의를 준수하도록 당사국들이 뜻을 모아 돌아갈 수 있을지 결정할 중요한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말했다.
이날 장이브 르드리앙 프랑스 외교부 장관도 상원에 출석해 마라톤 같은 협상이 "진실의 순간"에 다다랐다며 이제는 "몇 주가 아니라 며칠이 남았다"고 말했다.
르드리앙 장관은 "합의가 가능할 정도로 유의미한 의견 수렴이 있었고 그것은 우리 손안에 있다"며 이란 측에 '정치적인 결단'을 촉구했다. 그는 이란 앞에 놓인 선택지는 명확하다며 "앞으로 심각한 위기를 촉발하거나 모든 당사국, 특히 이란의 이해관계를 존중하는 합의를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란 핵 합의는 2015년 이란이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과 독일 등 6개국과 맺은 것으로, 이란은 우라늄 농축 등 핵 활동을 동결 또는 축소하고, 서방은 대(對)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그러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이 합의를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실패한 중동 정책으로 규정하며 2018년 일방 탈퇴한 뒤 이란에 제재를 다시 부과했다. 이에 맞서 이란은 합의에서 금지한 핵 활동을 점진적으로 진전시키는 식으로 대응해왔다.
이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집권하면서 이란과 이들 6개국은 지난해 4월부터 오스트리아 빈에서 핵 합의 복원 협상을 진행해왔다. /연합뉴스
이어 "협상 당사자들은 (상황을) 현실적으로 따지면서 비타협적 태도는 배제하고, 지난 4년간 교훈을 살펴봐야 한다"면서 "중대한 결정을 내릴 시간"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역시 협상이 최종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확인했다. 이날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이제 정말로 핵합의를 준수하도록 당사국들이 뜻을 모아 돌아갈 수 있을지 결정할 중요한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말했다.
이날 장이브 르드리앙 프랑스 외교부 장관도 상원에 출석해 마라톤 같은 협상이 "진실의 순간"에 다다랐다며 이제는 "몇 주가 아니라 며칠이 남았다"고 말했다.
르드리앙 장관은 "합의가 가능할 정도로 유의미한 의견 수렴이 있었고 그것은 우리 손안에 있다"며 이란 측에 '정치적인 결단'을 촉구했다. 그는 이란 앞에 놓인 선택지는 명확하다며 "앞으로 심각한 위기를 촉발하거나 모든 당사국, 특히 이란의 이해관계를 존중하는 합의를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란 핵 합의는 2015년 이란이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과 독일 등 6개국과 맺은 것으로, 이란은 우라늄 농축 등 핵 활동을 동결 또는 축소하고, 서방은 대(對)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그러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이 합의를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실패한 중동 정책으로 규정하며 2018년 일방 탈퇴한 뒤 이란에 제재를 다시 부과했다. 이에 맞서 이란은 합의에서 금지한 핵 활동을 점진적으로 진전시키는 식으로 대응해왔다.
이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집권하면서 이란과 이들 6개국은 지난해 4월부터 오스트리아 빈에서 핵 합의 복원 협상을 진행해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