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 금통위 의장대행 "올해 물가 4% 근접, 성장률 2%대 중후반"
입력
수정
"지난 한달간 경제여건 큰 변화…물가상승 압력 장기화 가능성"
"총재 공석에도 대응할 수밖에 없는 상황"…"한국 경제 펀더멘털은 양호"
"자본유출 가능성 매우 낮아"…"기준금리, 중립금리 이상 올려야 할 한계 상황 아니다" 주상영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위원(의장 직무대행)은 14일 "올해 물가 상승률은 4% 또는 그에 근접한 수준으로 오르고, 경제성장률은 적어도 2% 중후반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 위원은 이날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0.25%포인트(p) 인상한 1.50%로 결정한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금통위 의장인 한은 총재가 공석인 상태여서 이날 금통위는 사상 처음으로 의장 직무대행 위원인 주 위원이 회의를 주재했다.
한미 간 금리 역전 우려에 대해서는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양호하기 때문에 대규모 유출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 다음은 주 위원과 일문일답이다.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장기화로 경제성장률이 2%대 중반으로 떨어지고 물가상승률은 4%대 중반으로 오를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가능성은.
▲ 올해 연간 물가상승률은 대략 4% 또는 그에 근접한 수준으로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물가 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
경제성장률은 낮아져도 2%대 중후반은 될 것이다.
이 정도로 성장하면 물가가 다소 높지만, 스태그플레이션으로 볼 수는 없다. -- 8개월 동안 기준금리를 4차례 인상했다.
이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도 있다.
▲ 경기가 조금씩 회복하고 있어 조정했다.
기준금리 인상이 경기 회복 속도에 일부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하지만, 3월 중순 이후 국내 소비가 빠르게 회복되는 등 긍정적인 요인들이 있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일부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
-- 총재 공백 상황에서 기준금리 올렸다.
▲ 지난 2월 말 금통위 회의 이후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내외 여건에 큰 변화가 발생했다.
물가 상승 압력도 예상보다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총재가 공석에도 불구하고 대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
-- 현재 경기보다 물가 안정이 더 중요한가.
▲ 현재 공급 측면에서 주로 물가상승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현상이 예상보다 장기화하면 기대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실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금으로서는 물가 상방 압력을 더 중시할 수밖에 없었다.
-- 본인 의견 개진했는지. 이창용 한은 총재 후보자와 사전에 논의했는지.
▲ 임시 의장대행이어서 개인 의견 개진하지 않았지만 이번에 인상에 찬성표를 던졌다.
2월 이후 물가 상승 압력이 가속되고 기대인플레이션이 3%에 근접한 수준으로 올라가 금리 인상이 맞는다고 판단했다.
총재 후보자가 귀국한 이후 금통위 위원들과 차담회를 한 적은 있지만, 통화정책방향에 대해서는 전혀 얘기하지 않았다.
-- 한미 금리차 역전이 현실화하면 자금 유출 가능성은.
▲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이 원/달러 환율 상승과 자본 유출에 압력을 넣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물가, 경상수지, 대외순자산 등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은 양호하다.
내외금리차 축소 또는 금리 역전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다.
2005년과 2018년에도 역전 있었지만, 채권자금은 오히려 순유입 됐다.
국내 자본의 대규모 유출 가능성은 매우 낮다.
-- 연준은 올해 연말이면 중립금리 이상으로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은은 중립금리 이상으로 올리는 데 부정적인데.
▲ 미국 연준의 정책목표는 물가안정과 고용안정이다.
고용의 경우 완전고용에 가깝지만 물가 상승률은 굉장히 높다.
물가 안정을 위해 연준이 기준금리를 중립금리 이상으로 올릴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우리는 좀 다르다. 현재 판단으로는 중립금리 이상으로 올릴 정도의 한계에 달한 상황이 아니다.
/연합뉴스
"총재 공석에도 대응할 수밖에 없는 상황"…"한국 경제 펀더멘털은 양호"
"자본유출 가능성 매우 낮아"…"기준금리, 중립금리 이상 올려야 할 한계 상황 아니다" 주상영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위원(의장 직무대행)은 14일 "올해 물가 상승률은 4% 또는 그에 근접한 수준으로 오르고, 경제성장률은 적어도 2% 중후반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 위원은 이날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0.25%포인트(p) 인상한 1.50%로 결정한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금통위 의장인 한은 총재가 공석인 상태여서 이날 금통위는 사상 처음으로 의장 직무대행 위원인 주 위원이 회의를 주재했다.
한미 간 금리 역전 우려에 대해서는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양호하기 때문에 대규모 유출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 다음은 주 위원과 일문일답이다.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장기화로 경제성장률이 2%대 중반으로 떨어지고 물가상승률은 4%대 중반으로 오를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가능성은.
▲ 올해 연간 물가상승률은 대략 4% 또는 그에 근접한 수준으로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물가 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
경제성장률은 낮아져도 2%대 중후반은 될 것이다.
이 정도로 성장하면 물가가 다소 높지만, 스태그플레이션으로 볼 수는 없다. -- 8개월 동안 기준금리를 4차례 인상했다.
이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도 있다.
▲ 경기가 조금씩 회복하고 있어 조정했다.
기준금리 인상이 경기 회복 속도에 일부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하지만, 3월 중순 이후 국내 소비가 빠르게 회복되는 등 긍정적인 요인들이 있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일부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
-- 총재 공백 상황에서 기준금리 올렸다.
▲ 지난 2월 말 금통위 회의 이후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내외 여건에 큰 변화가 발생했다.
물가 상승 압력도 예상보다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총재가 공석에도 불구하고 대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
-- 현재 경기보다 물가 안정이 더 중요한가.
▲ 현재 공급 측면에서 주로 물가상승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현상이 예상보다 장기화하면 기대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실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금으로서는 물가 상방 압력을 더 중시할 수밖에 없었다.
-- 본인 의견 개진했는지. 이창용 한은 총재 후보자와 사전에 논의했는지.
▲ 임시 의장대행이어서 개인 의견 개진하지 않았지만 이번에 인상에 찬성표를 던졌다.
2월 이후 물가 상승 압력이 가속되고 기대인플레이션이 3%에 근접한 수준으로 올라가 금리 인상이 맞는다고 판단했다.
총재 후보자가 귀국한 이후 금통위 위원들과 차담회를 한 적은 있지만, 통화정책방향에 대해서는 전혀 얘기하지 않았다.
-- 한미 금리차 역전이 현실화하면 자금 유출 가능성은.
▲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이 원/달러 환율 상승과 자본 유출에 압력을 넣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물가, 경상수지, 대외순자산 등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은 양호하다.
내외금리차 축소 또는 금리 역전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다.
2005년과 2018년에도 역전 있었지만, 채권자금은 오히려 순유입 됐다.
국내 자본의 대규모 유출 가능성은 매우 낮다.
-- 연준은 올해 연말이면 중립금리 이상으로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은은 중립금리 이상으로 올리는 데 부정적인데.
▲ 미국 연준의 정책목표는 물가안정과 고용안정이다.
고용의 경우 완전고용에 가깝지만 물가 상승률은 굉장히 높다.
물가 안정을 위해 연준이 기준금리를 중립금리 이상으로 올릴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우리는 좀 다르다. 현재 판단으로는 중립금리 이상으로 올릴 정도의 한계에 달한 상황이 아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