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생산 늘었지만 소비·투자 꺾였다…"불안한 회복세"(종합2보)
입력
수정
생산 1.5%↑·소비 0.5%↓·설비투자 2.9%↓, 내수지표 일제히 감소…중국 봉쇄 영향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 6개월 만에 하락…"불확실성 징표" 3월 산업생산이 석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소비와 투자는 감소했다. 서비스업과 광공업 등 생산 측면에서 좋은 흐름이지만 공급망 차질 등 대내외 여건 악화로 경기 회복세가 불안한 상황을 맞고 있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3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7.1(2015년=100)로 전월보다 1.5% 증가했다.
전산업 생산은 올해 들어 1월(-0.3%), 2월(-0.3%) 두 달 연속으로 감소하다가 석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3월에는 서비스업 생산이 1.5% 증가했다.
거리두기 조치 완화에 따른 외부활동 증가 등 사유로 9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주식 등 금융상품 거래와 은행 대출 등이 늘면서 금융·보험(3.8%) 생산이 증가했고, 음식료품·의약품 등의 판매 호조로 도소매(1.2%) 생산도 늘었다. 반면 예술·스포츠·여가(-0.4%) 등은 생산이 감소했다.
제조업을 비롯한 광공업 생산은 1.3% 늘었다.
액화천연가스(LNG)선, 항공기 부품 등 기타 운송장비(11.3%) 생산이 늘어난 영향이다. 라면·햄·김치 등 가정용 식재료 생산이 늘면서 식료품(7.1%) 생산은 1989년 8월(12.0%) 이후 약 3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로써 광공업 생산은 2010년 7월 이후 11년 8개월 만에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반면 건설업 생산은 0.3% 감소했다.
건축공사 실적이 줄면서 건설기성도 0.3% 감소했다.
공공행정은 3.4% 증가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3월 120.1(2015년=100)로 전월보다 0.5% 감소했다.
코로나 사태 이후 판매 호조가 이어졌던 가전제품 등 내구재(-7.0%)의 경우 신규 교체 수요가 줄면서 판매가 줄었고, 의복 등 준내구재(-2.6%) 판매도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 투자가 일제히 줄면서 2.9% 감소해 두 달 연속 하락을 기록했다.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조치로 현지 협력업체들의 공장 가동이 중단되며 주요 부품 조달에 차질이 발생했다.
건설투자의 경우 최근 자재비 상승이 공사 일정에 영향을 주면서 부진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2.4로 전월보다 0.2포인트(p) 내려 6개월 만에 하락했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5로 0.3포인트(p) 하락해 9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통계청 어운선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서비스업 생산과 광공업 생산이 호조를 보이며 전체 생산이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내수 지표들이 일제히 감소하면서 불안한 회복세를 나타냈다"고 말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경기동행지수가 6개월 만에 하락한 점은 어려운 대외 여건 속에 경기 회복 흐름의 불확실성이 높다는 징표로 볼 수 있어, 각별한 주의와 긴장감을 요구하는 부분"이라고 짚었다.
/연합뉴스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 6개월 만에 하락…"불확실성 징표" 3월 산업생산이 석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소비와 투자는 감소했다. 서비스업과 광공업 등 생산 측면에서 좋은 흐름이지만 공급망 차질 등 대내외 여건 악화로 경기 회복세가 불안한 상황을 맞고 있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3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7.1(2015년=100)로 전월보다 1.5% 증가했다.
전산업 생산은 올해 들어 1월(-0.3%), 2월(-0.3%) 두 달 연속으로 감소하다가 석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3월에는 서비스업 생산이 1.5% 증가했다.
거리두기 조치 완화에 따른 외부활동 증가 등 사유로 9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주식 등 금융상품 거래와 은행 대출 등이 늘면서 금융·보험(3.8%) 생산이 증가했고, 음식료품·의약품 등의 판매 호조로 도소매(1.2%) 생산도 늘었다. 반면 예술·스포츠·여가(-0.4%) 등은 생산이 감소했다.
제조업을 비롯한 광공업 생산은 1.3% 늘었다.
액화천연가스(LNG)선, 항공기 부품 등 기타 운송장비(11.3%) 생산이 늘어난 영향이다. 라면·햄·김치 등 가정용 식재료 생산이 늘면서 식료품(7.1%) 생산은 1989년 8월(12.0%) 이후 약 3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로써 광공업 생산은 2010년 7월 이후 11년 8개월 만에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반면 건설업 생산은 0.3% 감소했다.
건축공사 실적이 줄면서 건설기성도 0.3% 감소했다.
공공행정은 3.4% 증가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3월 120.1(2015년=100)로 전월보다 0.5% 감소했다.
코로나 사태 이후 판매 호조가 이어졌던 가전제품 등 내구재(-7.0%)의 경우 신규 교체 수요가 줄면서 판매가 줄었고, 의복 등 준내구재(-2.6%) 판매도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 투자가 일제히 줄면서 2.9% 감소해 두 달 연속 하락을 기록했다.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조치로 현지 협력업체들의 공장 가동이 중단되며 주요 부품 조달에 차질이 발생했다.
건설투자의 경우 최근 자재비 상승이 공사 일정에 영향을 주면서 부진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2.4로 전월보다 0.2포인트(p) 내려 6개월 만에 하락했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5로 0.3포인트(p) 하락해 9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통계청 어운선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서비스업 생산과 광공업 생산이 호조를 보이며 전체 생산이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내수 지표들이 일제히 감소하면서 불안한 회복세를 나타냈다"고 말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경기동행지수가 6개월 만에 하락한 점은 어려운 대외 여건 속에 경기 회복 흐름의 불확실성이 높다는 징표로 볼 수 있어, 각별한 주의와 긴장감을 요구하는 부분"이라고 짚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