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후유증 3년간 지켜본다…내달말 '롱 코비드' 조사 시작
입력
수정
소아 포함 1만명 코호트 관찰…4년간 217억원 투입
후유증 DB·양상분석 플랫폼 구축 연구도 정부가 '롱 코비드'(Long-Covid)로 불리는 코로나19 후유증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해 3년여간 1만명을 추적 관찰하기로 했다. 조사는 연구개발과제 선정을 거쳐 내달 말 시작되며 후유증의 양상 확인과 위험인자 발굴, 치료·관리를 위한 지침(가이드라인) 마련이 목표다.
3일 질병관리청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은 최근 이같은 내용의 '코로나19 후유증 조사연구 사업(R&D)'의 공모를 공고했다.
조사·연구는 ▲ 임상기반 코로나19 후유증 양상 및 가이드라인 연구 ▲ 빅데이터 기반 후유증 연구 ▲ 코로나19 후유증 중개연구 등 3개 분야로 나누어 진행된다. 1차연도는 5개월간 진행되며, 2∼4차연도 연구는 12개월간 진행된다.
임상기반 연구의 경우 소아를 포함한 확진자 1만명을 코호트로 지정해 이뤄지는데, 이들의 코로나19 후유증 양상에 대해 '최대 3년간' 추적 관찰하도록 했다.
방역당국과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롱 코비드'는 코로나19 발병 3개월 이내에 시작돼 최소 2개월 이상 증상이 있으면서, 다른 진단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두통, 인지 저하, 피로감, 호흡곤란, 탈모, 우울·불안, 두근거림, 생리주기 변동, 근육통 등 200여개의 다양한 증상이 롱 코비드의 증상으로 보고됐다. 다수 확진자는 단기에 후유증을 회복하지만 20% 안팎의 환자는 다양한 증상을 중장기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3년여간에 걸친 관찰과 조사를 통해 코로나19 후유증 발생 양상을 분석하고, 후유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기저질환 등 위험인자를 발굴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표다. 이를 통해 후유증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이를 미래 감염병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국민 1만여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롱 코비드' 조사를 실시한 뒤 치료·관리를 위한 지침(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그 계획이 더욱 구체화된 것이다.
이외에 빅데이터 기반 연구는 '롱 코비드' 임상·중개연구의 자료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또 이를 활용한 후유증 양상 분석 플랫폼을 개발하는 내용이다.
또 코로나19 후유증 중개연구를 통해서는 분자생물학, 면역학 등 기초학문을 통해 후유증 발생 원인을 탐색하도록 했다.
이들 연구에는 4년간 각각 103억원(임상기반), 21억원(빅데이터기반), 92억6천만원(중개연구) 등 216억6천만원가량이 투입된다. 연구원은 이달 11일까지 연구기관을 모집한 뒤 평가·심의를 거쳐 8월 말 연구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
후유증 DB·양상분석 플랫폼 구축 연구도 정부가 '롱 코비드'(Long-Covid)로 불리는 코로나19 후유증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해 3년여간 1만명을 추적 관찰하기로 했다. 조사는 연구개발과제 선정을 거쳐 내달 말 시작되며 후유증의 양상 확인과 위험인자 발굴, 치료·관리를 위한 지침(가이드라인) 마련이 목표다.
3일 질병관리청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은 최근 이같은 내용의 '코로나19 후유증 조사연구 사업(R&D)'의 공모를 공고했다.
조사·연구는 ▲ 임상기반 코로나19 후유증 양상 및 가이드라인 연구 ▲ 빅데이터 기반 후유증 연구 ▲ 코로나19 후유증 중개연구 등 3개 분야로 나누어 진행된다. 1차연도는 5개월간 진행되며, 2∼4차연도 연구는 12개월간 진행된다.
임상기반 연구의 경우 소아를 포함한 확진자 1만명을 코호트로 지정해 이뤄지는데, 이들의 코로나19 후유증 양상에 대해 '최대 3년간' 추적 관찰하도록 했다.
방역당국과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롱 코비드'는 코로나19 발병 3개월 이내에 시작돼 최소 2개월 이상 증상이 있으면서, 다른 진단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두통, 인지 저하, 피로감, 호흡곤란, 탈모, 우울·불안, 두근거림, 생리주기 변동, 근육통 등 200여개의 다양한 증상이 롱 코비드의 증상으로 보고됐다. 다수 확진자는 단기에 후유증을 회복하지만 20% 안팎의 환자는 다양한 증상을 중장기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3년여간에 걸친 관찰과 조사를 통해 코로나19 후유증 발생 양상을 분석하고, 후유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기저질환 등 위험인자를 발굴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표다. 이를 통해 후유증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이를 미래 감염병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국민 1만여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롱 코비드' 조사를 실시한 뒤 치료·관리를 위한 지침(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그 계획이 더욱 구체화된 것이다.
이외에 빅데이터 기반 연구는 '롱 코비드' 임상·중개연구의 자료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또 이를 활용한 후유증 양상 분석 플랫폼을 개발하는 내용이다.
또 코로나19 후유증 중개연구를 통해서는 분자생물학, 면역학 등 기초학문을 통해 후유증 발생 원인을 탐색하도록 했다.
이들 연구에는 4년간 각각 103억원(임상기반), 21억원(빅데이터기반), 92억6천만원(중개연구) 등 216억6천만원가량이 투입된다. 연구원은 이달 11일까지 연구기관을 모집한 뒤 평가·심의를 거쳐 8월 말 연구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