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997년 환란의 데자뷔…안일한 위기의식까지 닮았다
입력
수정
지면A27
국내외 외환·금융시장이 심상치 않다. 엔·달러 환율이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던 150엔을 돌파하면서 엔화 가치가 32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위안화 가치도 마지노선이라고 불리는 ‘포치(달러당 7위안)’가 무너진 후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아시아 자본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일본과 최대 교역국인 중국 통화가 무너지면 아시아 전체에서 자본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초 체력이 약한 아시아 신흥국부터 자본 유출이 본격화해 1997년과 비슷한 아시아 외환위기가 재연될 수 있다는 경고다.
이런 가운데 글로벌 긴축 여파와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가뜩이나 위축된 자금시장이 급속도로 얼어붙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얽힌 건설사와 증권사 부도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신용경색이 실물 위기로 번질 조짐을 보이는 것도 외환위기 때를 연상케 한다.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이 줄고 무역수지 적자를 거듭하는 것도 환란 이후 처음이다. 증권시장안정펀드 채권시장안정펀드 등 당시 사용한 대책도 25년이 지나 그대로 소환되고 있다. 무엇보다 위기가 눈앞에 닥쳤는데도 정쟁에만 몰두하는 여야의 극한 대치야말로 외환위기 직전과 똑 닮은 대목이다. 정부도 외환위기 전처럼 “위기 가능성은 없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정부와 정치권이 외환위기 때처럼 제 역할을 못하면 당면한 위기의 끝을 낙관하기 어렵다. 과감하고 선제적인 조치로 시장 심리를 안정시키는 게 급선무다. 채권안정펀드를 대규모로 확충해 즉각 재가동하는 한편 한 금융사의 PF 대출 부실이 다른 금융권으로 퍼져 시스템 리스크로 번지지 않도록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도 마련해 단계별로 시행해야 한다. 미국과의 통화스와프가 여의치 않다면 한국은행이 보유 중인 미 국채를 담보로 달러화 자금을 조달하는 등 안전장치 대안도 필요하다.
관건은 한국을 아시아 다른 나라와 차별하기 위한 경제 체질 개선이다. 노동·연금·교육 등 3대 핵심 개혁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법인세 인하, 반도체 지원법 등 기업 활력을 높이는 대책도 서둘러 입법화해야 한다. 외환위기 직전 추진했던 노동개혁과 금융개혁의 실패가 환란을 안방으로 불러들이는 도화선이 됐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이런 가운데 글로벌 긴축 여파와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가뜩이나 위축된 자금시장이 급속도로 얼어붙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얽힌 건설사와 증권사 부도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신용경색이 실물 위기로 번질 조짐을 보이는 것도 외환위기 때를 연상케 한다.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이 줄고 무역수지 적자를 거듭하는 것도 환란 이후 처음이다. 증권시장안정펀드 채권시장안정펀드 등 당시 사용한 대책도 25년이 지나 그대로 소환되고 있다. 무엇보다 위기가 눈앞에 닥쳤는데도 정쟁에만 몰두하는 여야의 극한 대치야말로 외환위기 직전과 똑 닮은 대목이다. 정부도 외환위기 전처럼 “위기 가능성은 없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정부와 정치권이 외환위기 때처럼 제 역할을 못하면 당면한 위기의 끝을 낙관하기 어렵다. 과감하고 선제적인 조치로 시장 심리를 안정시키는 게 급선무다. 채권안정펀드를 대규모로 확충해 즉각 재가동하는 한편 한 금융사의 PF 대출 부실이 다른 금융권으로 퍼져 시스템 리스크로 번지지 않도록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도 마련해 단계별로 시행해야 한다. 미국과의 통화스와프가 여의치 않다면 한국은행이 보유 중인 미 국채를 담보로 달러화 자금을 조달하는 등 안전장치 대안도 필요하다.
관건은 한국을 아시아 다른 나라와 차별하기 위한 경제 체질 개선이다. 노동·연금·교육 등 3대 핵심 개혁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법인세 인하, 반도체 지원법 등 기업 활력을 높이는 대책도 서둘러 입법화해야 한다. 외환위기 직전 추진했던 노동개혁과 금융개혁의 실패가 환란을 안방으로 불러들이는 도화선이 됐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