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국발 입국 방역강화는 국민 건강·안전 최우선한 결정"
입력
수정
"중국 상황 위험성·불확실성 고려…객관적·과학적 근거 따랐다" 중국이 우리 정부의 방역조치에 대응해 한국인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한 가운데 방역당국은 "(중국발 입국에 대한) 방역 강화조치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기 위해 내린 결정"이었다고 강조했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11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방역 강화조치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에 따라 내린 조치"였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우리 정부는 중국 내 코로나19 상황 악화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 2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전후 검사 실시, 단기비자 발급 중단, 항공편 증편 중단 등의 대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후 중국은 지난 10일 한국인의 중국 방문 단기비자 발급 중단을 전격적으로 발표했다. 이날 임 단장은 우리 방역당국의 조치에 대해 "중국 내 코로나 상황이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대규모 환자 발생에 따른 신규 변이의 우려 등도 고려해야 한다"며 "또 중국의 통계 발표 중단으로 가장 인접한 국가인 우리나라의 위험성과 불확실성이 커진 상태에서 고심 끝에 내렸던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임 단장은 실제로 중국발 입국자 양성률이 30%까지 치솟았던 시기가 있었음을 지적하며 "이런 객관적인 데이터를 봤을 때 지금 하는 방역조치들이 충분히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해외 유행상황, 국내 유행상황, 신규 변이 동향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며 "이런 것을 정확하게 감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조치를 지속적으로 검토·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강화한 방역조치의 유지 기간은 중국 내 상황에 달려있다는 게 당국의 입장이다.
임 단장은 "중국 내 유행 정점에 대해선 1월 정도로 평가하는 분도 있고 3월까지로 평가하는 분들도 있다"며 "대규모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는 신규 변이 발생 가능성이 언제든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방역상황을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인 확진자를 위한 국내 격리시설이 열악하다는 잘못된 정보가 현지에서 일부 알려졌다는 지적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평소 중국 관광객들이 이용하던 관광호텔급 이상 객실"이라며 "대부분 호텔에서 안전하게 격리 생활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앞서 우리 정부는 중국 내 코로나19 상황 악화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 2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전후 검사 실시, 단기비자 발급 중단, 항공편 증편 중단 등의 대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후 중국은 지난 10일 한국인의 중국 방문 단기비자 발급 중단을 전격적으로 발표했다. 이날 임 단장은 우리 방역당국의 조치에 대해 "중국 내 코로나 상황이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대규모 환자 발생에 따른 신규 변이의 우려 등도 고려해야 한다"며 "또 중국의 통계 발표 중단으로 가장 인접한 국가인 우리나라의 위험성과 불확실성이 커진 상태에서 고심 끝에 내렸던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임 단장은 실제로 중국발 입국자 양성률이 30%까지 치솟았던 시기가 있었음을 지적하며 "이런 객관적인 데이터를 봤을 때 지금 하는 방역조치들이 충분히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해외 유행상황, 국내 유행상황, 신규 변이 동향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며 "이런 것을 정확하게 감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조치를 지속적으로 검토·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강화한 방역조치의 유지 기간은 중국 내 상황에 달려있다는 게 당국의 입장이다.
임 단장은 "중국 내 유행 정점에 대해선 1월 정도로 평가하는 분도 있고 3월까지로 평가하는 분들도 있다"며 "대규모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는 신규 변이 발생 가능성이 언제든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방역상황을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인 확진자를 위한 국내 격리시설이 열악하다는 잘못된 정보가 현지에서 일부 알려졌다는 지적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평소 중국 관광객들이 이용하던 관광호텔급 이상 객실"이라며 "대부분 호텔에서 안전하게 격리 생활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