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조 사모은 채권개미…"하반기 절호의 기회" [상반기결산]




상반기 마지막 일주일을 보내며 투자 자산별 상황을 점검하고 하반기를 예측해 봅니다.두 번째 시간, 올해 개인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채권' 동향 증권부 신재근 기자와 짚어 보겠습니다.

신 기자, 올 상반기 개인들이 채권을 어마어마하게 사들이고 있죠?

개인 투자자는 올초 이후 이달 26일까지 채권을 20조 원 가까이 순매수했습니다.(18조7,633억 원)

이는 상반기만 놓고 봤을 때 지난 2006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규모인데요.

지금 추세라면 아직 올해가 절반이나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조만간 작년 개인의 전체 채권 순매수 규모(20조6,113억 원)를 추월할 것으로 보입니다.채권 유형별로는 국채(7조 원)가 전체의 절반가량을 차지했고, 회사채(4.6조 원)와 금융채(4조 원) 등이 10조 원 가까이 차지했습니다.

채권형 ETF에도 개인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이어졌는데요. 개인은 상반기에만 채권형 ETF를 8천억 원어치 순매수했습니다.



개인들이 공격적으로 채권 투자에 나서고 있는 이유가 뭔가요?



미국의 금리 인상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고, 채권 가격이 오르기 전 선제적으로 매수에 나선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금리와 채권은 반대로 움직이죠. 금리가 떨어지면 채권 가격은 오르는 식입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마무리됐다는 것은 곧 채권 가격이 바닥을 찍었다는 말과 같기 때문에 향후 채권 가격 상승에 따른 자본차익을 기대하고 채권을 사들인 겁니다.

한 채권 투자자는 한국경제TV와의 인터뷰에서 "금리 인하 시 채권 투자 성과가 좋을 것 같아서 조금씩 분할 매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연내 두 차례 더 금리를 올릴 것이란 신호를 주고 있지 않습니까? 채권투자자에게는 예상치 못한 악재 아닌가요?



당초 예상과 달리 미국의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진 것은 사실입니다.

시장은 연준이 금리를 최대 두 차례 더 올릴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원래 올해 상반기 중 금리 인상을 멈추고, 하반기부터 금리를 내릴 것이란 예상이 많았는데 높은 물가 수준이 지속되면서 예상이 보란듯이 빗나간 겁니다.

이로 인해 시장 금리도 널뛰기를 반복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달 연 3%대 초반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열린 FOMC 이후 3%대 후반으로 뛰었습니다.

미 연준이 향후에도 두 차례 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하향 안정세를 보이던 시장금리가 다시 오르기 시작한 겁니다.

이 영향으로 최근 한 달간 국내 상장된 전체 채권형 ETF의 평균 수익률은 0.23%에 그쳤고, 3개월 평균 수익률은 마이너스(-0.85%)를 기록 중입니다.

앞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이 현실로 다가올수록 시장 금리 변동성 역시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시장은 언제쯤 미국 등 주요국이 금리 인하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합니까?



증권업계는 미국의 경우 내년 초, 한국은 올해 4분기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미 연준의 긴축 효과가 3분기 중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이후 완만한 경기 침체를 거쳐 물가가 잡힐 것으로 본 건데요.

그렇게 되면 채권 가격의 바닥은 하반기가 될 것으로 다수의 채권 전문가들은 전망합니다.

때문에 단순히 채권 자본차익만을 노리는 투자자라면 하반기 채권 투자의 기회를 또다시 얻는 셈입니다.

경기 회복까지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회사채보다는 국채가 유망한 투자처가 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변수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죠. 만약 연준이 금리를 빠른 시일 내에 인하하지 않으면 이런 경우 어떻게 대응해야 합니까?



자산운용업계는 고금리가 장기화할 경우 만기매칭형 ETF에 투자하는 것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만기매칭형 ETF는 시장금리 변동에 관계없이 만기까지 보유하면 투자 당시 정해진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투자할 당시 금리가 연 5%라고 하면 이후 시장금리가 4%, 3%로 하락하더라도 만기까지 보유하면 원금에 연 5%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겁니다.

회사마다 다르지만 만기도 6개월에서 1년 남짓으로 짧고, 지금처럼 고금리 상황이 계속되면 은행 예금보다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더불어 미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불안과 최근 몇 년 동안 기관투자자들이 투자액을 늘려온 사모채권(Private Debt)시장의 과열에 따른 후유증 가능성도 반드시 확인해야 할 변수입니다.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근간인 CMBS(상업용부동산 저당증권)와 사모채권의 부실이 급증할 경우 기준금리 인상이 빨라질 수도 있고, 우량채권과 비우량채권 사이에 양극화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확신보다는 다양한 변수에 귀를 기울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증권부 신재근 기자였습니다.
신재근기자 jkluv@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