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풍향계] G2 영향권에 박스권 장세…중소형·테마주 활기
입력
수정
코스피가 나라 밖 소식에 영향을 받으며 박스권 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1일 2,563.71로 일주일 전인 지난 달 25일(2,519.14)보다 1.77% 상승했다. 코스닥지수도 한 주간 899.38에서 919.74로 2.26% 올랐다.
국내 증시는 8월에 약세를 보였다.
코스피는 지난 7월 말 2,632.58에서 8월 말 2,556.27로 한 달간 2.90%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도 지난 달 900선을 내줬다가 가까스로 다시 920선까지 회복했다.
종가 기준으로 보면 한 달간 0.81% 하락했다.
이달 들어서도 국내 증시는 주요 2개국(G2)인 미국과 중국의 영향권에서 등락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전 세계 금융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인 미국의 긴축을 염려하는 목소리는 다소 가라앉았다.
오히려 미국 통화당국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된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달 26일 잭슨홀 미팅 연설에서 "노동시장 재균형이 지속되고 있다고 기대한다"면서 "노동시장 과열 완화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증거가 나온다면 이 역시 통화정책의 반응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금리상승 압력이 완화한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미국 노동시장이 위축되면 우리나라 기업들의 수출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며 "단기적으로 국내 증시는 박스권에 머무르면서 종목 장세를 나타낼 공산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코스피 주간 변동폭을 2,490∼2,610으로 제시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나오는 미 고용지표는 일부 둔화했으나 지속 여부를 지켜봐야 하고 여전히 높은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수준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를 쉽게 낮추기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는 연준의 긴축 불확실성에 시장금리가 당분간 높은 수준에서 변동성이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부동산 시장을 둘러싼 악재는 투자심리에 부담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민간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碧桂園·컨트리가든)이 대규모 손실을 내고 채무불이행(디폴트) 위험에 휩싸여 있어서다.
중국의 부동산 위험은 위안화 환율과 증시 변동성을 자극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다만, 국내로 중국인 단체관광객(유커·遊客)이 몰려들어 소비 회복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달에 미국 금리 상승과 중국 부동산 채무 불이행 우려가 진정될 수 있다"며 "주요 2개국(G2) 불안이 해소될 가능성을 반영해 코스피는 이달에 완만한 반등을 시도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유준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거래대금이 감소했지만 중소형주와 코스닥 거래는 비교적 활발하다"며 "지수 방향성에 베팅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대안으로 낙폭과대 민감·가치주와 테마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수 흐름이 둔화하고 명확한 주도주가 나타나지 않은 상황에서 테마주 장세가 이어질 수 있고 개인투자자의 영향력도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달에 다수 기업이 공모 청약에 나서 테마주 장세에 힘을 불어넣을 수 있다.
'대어'로 주목받은 두산로보틱스가 청약에 나서고 서울보증보험이 상장 예비 심사 승인을 받아 상장 절차에 들어간다.
이번 주 국내외 주요 경제지표 발표와 일정은 아래와 같다. ▲ 4일(월) = 미국 노동절 휴장.
▲ 5일(화) = 한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 미국 7월 내구재 주문.
▲ 6일(수) = 유로존 7월 소매 판매, 미국 8월 ISM 비제조업.
▲ 7일(목) = 유로존 7월 생산자물가, 미국 연준 베이지북 공개, 중국 8월 수출입, 유로존 2분기 GDP(확정치).
/연합뉴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1일 2,563.71로 일주일 전인 지난 달 25일(2,519.14)보다 1.77% 상승했다. 코스닥지수도 한 주간 899.38에서 919.74로 2.26% 올랐다.
국내 증시는 8월에 약세를 보였다.
코스피는 지난 7월 말 2,632.58에서 8월 말 2,556.27로 한 달간 2.90%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도 지난 달 900선을 내줬다가 가까스로 다시 920선까지 회복했다.
종가 기준으로 보면 한 달간 0.81% 하락했다.
이달 들어서도 국내 증시는 주요 2개국(G2)인 미국과 중국의 영향권에서 등락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전 세계 금융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인 미국의 긴축을 염려하는 목소리는 다소 가라앉았다.
오히려 미국 통화당국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된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달 26일 잭슨홀 미팅 연설에서 "노동시장 재균형이 지속되고 있다고 기대한다"면서 "노동시장 과열 완화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증거가 나온다면 이 역시 통화정책의 반응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금리상승 압력이 완화한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미국 노동시장이 위축되면 우리나라 기업들의 수출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며 "단기적으로 국내 증시는 박스권에 머무르면서 종목 장세를 나타낼 공산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코스피 주간 변동폭을 2,490∼2,610으로 제시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나오는 미 고용지표는 일부 둔화했으나 지속 여부를 지켜봐야 하고 여전히 높은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수준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를 쉽게 낮추기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는 연준의 긴축 불확실성에 시장금리가 당분간 높은 수준에서 변동성이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부동산 시장을 둘러싼 악재는 투자심리에 부담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민간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碧桂園·컨트리가든)이 대규모 손실을 내고 채무불이행(디폴트) 위험에 휩싸여 있어서다.
중국의 부동산 위험은 위안화 환율과 증시 변동성을 자극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다만, 국내로 중국인 단체관광객(유커·遊客)이 몰려들어 소비 회복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달에 미국 금리 상승과 중국 부동산 채무 불이행 우려가 진정될 수 있다"며 "주요 2개국(G2) 불안이 해소될 가능성을 반영해 코스피는 이달에 완만한 반등을 시도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유준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거래대금이 감소했지만 중소형주와 코스닥 거래는 비교적 활발하다"며 "지수 방향성에 베팅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대안으로 낙폭과대 민감·가치주와 테마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수 흐름이 둔화하고 명확한 주도주가 나타나지 않은 상황에서 테마주 장세가 이어질 수 있고 개인투자자의 영향력도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달에 다수 기업이 공모 청약에 나서 테마주 장세에 힘을 불어넣을 수 있다.
'대어'로 주목받은 두산로보틱스가 청약에 나서고 서울보증보험이 상장 예비 심사 승인을 받아 상장 절차에 들어간다.
이번 주 국내외 주요 경제지표 발표와 일정은 아래와 같다. ▲ 4일(월) = 미국 노동절 휴장.
▲ 5일(화) = 한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 미국 7월 내구재 주문.
▲ 6일(수) = 유로존 7월 소매 판매, 미국 8월 ISM 비제조업.
▲ 7일(목) = 유로존 7월 생산자물가, 미국 연준 베이지북 공개, 중국 8월 수출입, 유로존 2분기 GDP(확정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