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까지 EDCF 13조8천억원 승인…우크라에 21억달러 지원
입력
수정
정부, EDCF 중장기운용계획…3년간 6조5천억원 집행 목표 정부가 2026년까지 3년간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13조8천억원 승인하고 6조5천억원을 집행하기로 했다. 올해 인도·우크라이나 등과는 신규 EDCF 기본약정(F/A) 체결을 추진한다.
기획재정부는 7일 열린 EDCF기금운용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의 '2024∼2026년 EDCF 중기운용방향'을 발표했다.
EDCF는 개도국의 경제·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우리 정부가 장기·저리로 빌려주는 자금이다. 정부는 올해 EDCF를 4조5천억원 승인하고 이후 매년 1천억원씩 늘려 3년간 총 13조8천억원을 승인하기로 했다.
집행은 올해 2조원, 내년에 2조2천억원, 2026년에 2조3천억원 등 총 6조5천억원 규모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공적개발원조(ODA) 규모가 2026년 세계 10위인 국가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지난해 EDCF는 14개국의 22개 사업을 대상으로 3조7천억원 승인됐다.
집행은 1조4천억원이었다.
승인과 집행 규모 모두 역대 최대다. 중점 지원 지역은 한국 기업의 수요가 높은 아시아로 3년간 60∼70%를 승인할 예정이다.
중점 지원 분야는 그린(67억달러), 디지털(33억달러), 보건(23억달러) 등이다.
한국 기업의 대형 인프라 사업의 발굴과 지원이 용이하도록 주요국과 171억달러 규모로 EDCF 기본약정을 증액·체결한다.
올해 우크라이나와 21억달러 규모의 신규 약정 체결을 추진한다.
지난해 공여협정을 맺은 데 이어 기간·한도를 정하는 등 구체적인 지원 내용을 정하겠다는 것이다.
인도와는 40억달러 규모로, 볼리비아·코트디부아르와도 각각 10억달러 규모로 신규 약정을 추진한다.
방글라데시·캄보디아·이집트·케냐·탄자니아·르완다 등과는 약정 규모를 늘린다.
정부는 인프라 지원뿐만 아니라 정책 컨설팅과 프로그램 차관도 종합 지원한다.
교통·정보기술·기후 변화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협조 융자도 활성화한다.
이를 위해 아시아개발은행(ADB)의 협조 융자 한도를 15억달러 이상으로 늘린다. 지원 모델은 다변화한다.
'ADB 아태기후혁신금융퍼실리티(IF-CAP)'에 참여해 EDCF 최초로 채무보증 지원방식을 도입하고 지원을 시작한다.
다자개발은행(MDB)·개발금융기관(DFI) 등과 개발금융펀드에 공동 투자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EDCF 제도 개선에도 나선다.
사업승인에서 본구매 계약 체결까지 EDCF 단계별 소요 기간을 4년에서 2년9개월로 줄이고 타당성조사 작성 지침을 개정하는 한편, 외화를 조달할 때 외화 직매입도 혼용하기로 했다.
경제협력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정상 외교와의 사전 연계도 강화한다.
공급망 핵심 국가와 EDCF 협력을 확대해 공급망 안정화도 꾀한다.
EDCF 집행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분기별로 집행점검회의를 개최하고 기업간담회도 열어 향후 전략에 반영한다. EDCF와 영국국제투자공사(BII) 간의 공동협력사업을 발굴하고 한미일 간의 정보 공유도 강화하는 등 주요 공여국과 협력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
기획재정부는 7일 열린 EDCF기금운용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의 '2024∼2026년 EDCF 중기운용방향'을 발표했다.
EDCF는 개도국의 경제·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우리 정부가 장기·저리로 빌려주는 자금이다. 정부는 올해 EDCF를 4조5천억원 승인하고 이후 매년 1천억원씩 늘려 3년간 총 13조8천억원을 승인하기로 했다.
집행은 올해 2조원, 내년에 2조2천억원, 2026년에 2조3천억원 등 총 6조5천억원 규모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공적개발원조(ODA) 규모가 2026년 세계 10위인 국가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지난해 EDCF는 14개국의 22개 사업을 대상으로 3조7천억원 승인됐다.
집행은 1조4천억원이었다.
승인과 집행 규모 모두 역대 최대다. 중점 지원 지역은 한국 기업의 수요가 높은 아시아로 3년간 60∼70%를 승인할 예정이다.
중점 지원 분야는 그린(67억달러), 디지털(33억달러), 보건(23억달러) 등이다.
한국 기업의 대형 인프라 사업의 발굴과 지원이 용이하도록 주요국과 171억달러 규모로 EDCF 기본약정을 증액·체결한다.
올해 우크라이나와 21억달러 규모의 신규 약정 체결을 추진한다.
지난해 공여협정을 맺은 데 이어 기간·한도를 정하는 등 구체적인 지원 내용을 정하겠다는 것이다.
인도와는 40억달러 규모로, 볼리비아·코트디부아르와도 각각 10억달러 규모로 신규 약정을 추진한다.
방글라데시·캄보디아·이집트·케냐·탄자니아·르완다 등과는 약정 규모를 늘린다.
정부는 인프라 지원뿐만 아니라 정책 컨설팅과 프로그램 차관도 종합 지원한다.
교통·정보기술·기후 변화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협조 융자도 활성화한다.
이를 위해 아시아개발은행(ADB)의 협조 융자 한도를 15억달러 이상으로 늘린다. 지원 모델은 다변화한다.
'ADB 아태기후혁신금융퍼실리티(IF-CAP)'에 참여해 EDCF 최초로 채무보증 지원방식을 도입하고 지원을 시작한다.
다자개발은행(MDB)·개발금융기관(DFI) 등과 개발금융펀드에 공동 투자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EDCF 제도 개선에도 나선다.
사업승인에서 본구매 계약 체결까지 EDCF 단계별 소요 기간을 4년에서 2년9개월로 줄이고 타당성조사 작성 지침을 개정하는 한편, 외화를 조달할 때 외화 직매입도 혼용하기로 했다.
경제협력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정상 외교와의 사전 연계도 강화한다.
공급망 핵심 국가와 EDCF 협력을 확대해 공급망 안정화도 꾀한다.
EDCF 집행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분기별로 집행점검회의를 개최하고 기업간담회도 열어 향후 전략에 반영한다. EDCF와 영국국제투자공사(BII) 간의 공동협력사업을 발굴하고 한미일 간의 정보 공유도 강화하는 등 주요 공여국과 협력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