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주산업까지 협력하는 美·日, '해양세력' 결속이 한국 미래다

미국과 일본이 내일 미국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한다. 반도체산업을 중심으로 미국의 중국 고립 전략이 지속되는 가운데 양국은 근래 경제와 안보에 걸쳐 확실한 결속력을 보여 왔다. 지난달 나온 통합작전사령부 창설 계획에 이어 양국이 로켓 발사에 공조하는 ‘우주 협력’까지 협의할 계획으로 알려지고 있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미국 국빈 방문으로 미·일은 최고 수준의 협력관계를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담은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가 어떻게 되든 그간 다져온 양국의 협력체계가 흔들리지 않게 해두려는 것이라는 외교가 분석이 설득력을 갖는다. 지지율 하락 국면에서도 적극적인 외교에 나선 기시다 총리의 행보는 일본 정부의 그런 노력을 여실히 보여준다. 구마모토에 TSMC 제2공장까지 유치하는 한편 북한 김정은과의 회담도 계속 추진 중인 사실이 확인됐다.기존의 안보·경제 협력을 넘어 우주 프로젝트에까지 미국과 일본이 밀착하는 것에는 여러 가지 함의가 있다. 한국으로선 무엇보다 한·미·일 3국 협력 체제를 한층 공고히 하면서 전통적 ‘해양세력’ 간 결속을 다지는 게 중요하다. 중국을 중심으로 북한·러시아의 ‘대륙세력’이 결집력을 높여가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에 ‘항해의 자유’는 수출입 물동량의 안전한 이동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다행히 현 정부는 해양세력의 결속이 갖는 의미를 잘 알고 협력을 위한 노력도 다각도로 기울여왔다. 물론 이번 바이든·기시다 회담에서는 반도체·인공지능(AI) 등에서 양자 간 특별한 협력을 논의할 가능성도 높다. 우리 정부는 물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산업계가 좀 더 예민하게 미·일의 협력 행보를 주시해야 하는 현실적 이유다.

7월 미국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 때 한·미·일 정상회담도 열릴 전망이다. 다음달에는 서울에서 한·일·중 정상회담도 추진 중이다. 이래저래 동북아 경제와 안보의 큰 틀이 출렁이는 분위기다. 이런 안보 지형의 변혁기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처럼 “대만 해협이 어떻게 되든 뭔 상관있나”라거나 “(중국에는) 셰셰”라는 식은 곤란하다. 해양세력의 협력과 결속이 우리에겐 미래 번영의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