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보험권, PF 시장 수요에 따라 '공동대출' 자금 조성키로

캐피탈콜 방식 유력…금융위, PF정상화방안 최종 의견수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를 위해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을 구성하기로 한 은행·보험권이 시장 수요가 있을 때마다 자금을 대는 방식을 택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신디케이트론에 캐피탈콜(capital call·한도 내에서 자금 수요가 있을 때마다 돈을 붓는 것) 방식을 적용해 금융회사들의 출자 부담을 덜고 PF 시장 상황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다음 주 초 발표할 PF 정상화 방안에 은행·보험권 신디케이트론 규모와 운영 방식 등을 담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신디케이트론을 캐피탈콜 방식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보고 있다"고 "수요가 있을 경우 미리 약정한 대로 자금을 대는 형식"이라고 말했다. 은행·보험권으로서는 한꺼번에 자금을 투입해야 하는 부담을 덜 수 있고, 금융당국으로서도 자금이 필요할 경우 빠르게 자금을 끌어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에서는 신디케이트론 규모가 조 단위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융사들이 취급한 부동산 PF 대출은 작년 말 기준 136조원 수준으로, 이 가운데 본 PF로 넘어가지 못한 채 만기 연장으로 버티는 2금융권 브릿지론 규모만 30조원 이상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경·공매를 통해 부실 사업장의 토지 가격을 낮춘 뒤 은행·보험권의 신규 자금을 유도해 사업을 재구조화하는 방안을 핵심적으로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1조원대의 캠코 PF 정상화 펀드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PF 사업장을 넘기는 매도자 측에 '우선매수권'을 부여함으로써 사업장 매각 및 구조조정 속도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금융당국은 PF 정상화 방안 발표를 앞두고 막바지 세부 조율 과정을 거치고 있다.

금융위는 전날 5대 금융지주를 비롯한 금융업권과 건설업계 관계자들을 불러 비공개회의를 열고 시장 의견을 최종적으로 수렴했다.

이 자리에서는 신디케이트론 운영 방식과 자금 집행 시 주어지는 인센티브 등에 대한 질의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브릿지론 사업장에 기간이나 연장 횟수 등 일괄적인 기준을 제시할 경우 대주단 부담이 지나치게 커진다는 의견 등도 개진됐다.

한편, PF 시장 구조조정의 축소판으로 통하는 태영건설 관련 사업장들도 경·공매 절차에 돌입하고 있다.

특히 서울 반포 부동산 PF 사업장도 경·공매 절차를 밟게 돼 눈길을 끈다. 이 사업장은 본 PF로 넘어간 상황인 데다 입지가 좋아 완공 시 사업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됐으나, 선순위 채권자인 과학기술인공제회가 채권 회수를 결정하면서 공매 절차를 밟게 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