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IT담당 "망분리·데이터결합 등 규제로 AI 활용 불편"

대한상의 조사…실제 AI 활용 필요성에 비해 활용도 저조
데이터 활용과 공유 관련 각종 규제로 금융권에서 인공지능(AI)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금융지주, 은행, 증권, 보험 등 116개 금융사 IT 직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AI 활용 현황과 정책 개선과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응답자의 대다수인 88.8%가 업무상 AI 활용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나, 실제 AI를 활용하고 있다는 응답은 51.0%로 격차가 컸다.

다만 응답 기업의 69.6%는 AI 관련 신규사업 계획이 있다고 밝혔고, 계획이 없다는 기업은 13.2%에 그쳤다.
금융사의 AI 활용 분야는 동향 분석 및 금융상품 개발이 47.5%로 가장 많았다.

또 챗봇 등 고객 응대(41.5%), 고객분석 및 성향 예측(31.5%), 보이스피싱 예방 등 이상 거래 탐지(25.5%) 등 분야에서도 많이 활용됐다.

AI 도입과 활용에 있어 애로사항으로는 65.7%가 규제로 인한 활용 제한을 꼽았다. 이어 인프라·기술력 부족(52.5%), 비용·인력 부족(47.1%), 금융사고 대비 미흡(42.6%), 양질의 데이터 부족(39.7%)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AI 활용을 저해하는 구체적 규제 사례로는 망분리 규제(76.5%), 데이터 결합 규제(75.0%), 금융지주 계열사 간 데이터 공유 규제(73.3%) 등이 꼽혔다.

아울러 기술 발전에 비해 느린 제도 정비 속도(61.8%), 정부 인허가 절차 지연(33.3%) 등도 거론됐다. 송승혁 대한상의 금융산업팀장은 "우리 금융사들은 각종 규제로 AI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우려와 위기의식이 심각하다"며 "정부 정책 방향인 밸류업을 촉진하는 차원에서도 금융권의 AI 활용도 제고를 위해 각종 데이터 관련 규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