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의류업계가 올들어 대미수출부진으로 불황에 직면하고 있다고 홍
콩에서 발행되는 경제주간 파 이스턴 이코노믹 리뷰지가 최신호(11월 17일
자)에서 보도했다.
홍콩 의류메이커들은 지난 86년, 87년 2년동안 미달러약세에 힘입어 수
출이 연평균 20%이상 늘어나는 호황을 누렸다.
홍콩이 지난 2년간 의류생산부문에서 호황을 누린것은 전체수출의 45%를
소화하는 미국시장에 대한 판매가 환율요인으로 인해 급증했기 때문이다.
홍콩달러화는 미달러와 연계되어 가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미달러가 하락
하면 홍콩달러가치는 대미달러 절상이 가중되고 있는 한국이나 대만 통화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홍콩산제품의 수출경쟁력을 높여준다.
홍콩의 대미의류수출은 그러나 금년들어 8월까지 미달러의 상대적인 강
세와 더불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나 감소했다.
이에따라 EC(유럽공동체)에 대한 수출은 15%가 늘어 났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기간동안 전체 수출규모는 53억 2,000만달러로 전년동기수출액에 비
해 변동이 없는 정체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리뷰지는 홍콩 의류업계의 대미수출이 줄어드는 것은 환율요인외에도 미
국의류시장이 여성복중심으로 수요가 크게 감퇴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
다.
의류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여성복 판매는 지난해 10월 주가
대폭락이후 구매력이 눈에 띄게 약화되고 있느데다 미국 여성복패션이 변
화를 보이고 있지 않아 미국여성들의 의류구입감소를 부채질하고 있다고
이 잡지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