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패션업계에서 '보디 포지티브(Body Positive)'의 시대가 저물어가는 것일까. 보디 포지티브란 사회가 규정한 미(美)의 기준을 따라야 한다는 압박에서 벗어나 있는 그대로의 자기 몸을 사랑하자는 '자기 몸 긍정주의'를 가리킨다. 2010년대 들어 10여년에 걸쳐 글로벌 패션계를 풍미했던 보디 포지티브 흐름은 체중 감량 약물 등의 등장을 계기로 다시 스키니 패션에 자리를 내주는 추세다.BBC는 2010년대 한때 전면에 나섰던 보디 포지티브 운동의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고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1960년대 메릴린 먼로의 등장 등을 계기로 시작된 보디 포지티브 운동은 2010년대 인스타그램의 등장 이후 다시 주목받았다. 이 무렵 럭셔리 잡지나 런웨이를 벗어난 새로운 트렌드가 SNS를 통해 대중들에게 소개된 게 계기가 됐다. 킴 카다시안 가족이 유행시킨 곡선미가 전 세계적으로 브라질리언 엉덩이 리프트(BBL) 수술 붐을 일으킨 게 대표적인 사례다.'플러스 사이즈' 모델들이 메이저 패션 브랜드의 모델로 캐스팅됐고, 특히 리한나의 란제리 브랜드 'Savage×Fenty'가 2018년에 론칭하면서 다양한 체형을 포용하는 브랜드로 이목을 끌었다. 플러스 사이즈 모델 펠리시티 헤이워드는 2011년 모델 에이전시 스톰에서 연락받았을 때를 떠올리며 "케이트 모스를 발굴한 그 회사에서 나를 찾다니, 장난인 줄 알았다"고 말하기도 했다.하지만 202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흐름은 점차 둔화하기 시작했다. 글로벌 패션잡지 보그는 "2024년 가을·겨울(F/W) 패션을 소개하는 230개 쇼에 등장한 8800개의 룩 중 플러스 사이즈 모델이 차지하는 비율이 0.8%에 불과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오픈AI가 스마트폰을 대신하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전용 단말기와 독자 반도체 개발에 나선다.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는 3일 보도된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세계 AI 업계에 충격을 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에 대해서는 "새롭지 않다"고 평가했다.올트먼은 딥시크가 최근 내놓은 AI 모델을 놓고 "성능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라며 "오픈AI에는 이전부터 이 수준의 모델은 있었고 앞으로도 더 좋은 모델을 계속 만들겠다"고 말했다.딥시크는 최근 AI 모델 '딥시크-V3'와 '딥시크-R1'을 선보였다. 해당 모델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의 반도체와 소규모 인프라로 오픈AI 등 선두 주자들을 위협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는 딥시크가 AI 모델 훈련을 위해 오픈AI 데이터를 무단으로 수집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다. 오픈AI는 아이폰을 디자인한 애플 전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와 손잡고 AI 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시제품이 나오는 데는 앞으로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올트먼은 AI 전용 기기에 대해 "협력을 통해 만들 것"이라며 "AI는 컴퓨터와 접하는 방법을 근본적으로 바꾸기 때문에 새 단말기가 필요하다. 음성 조작이 관건일 것"이라고 말했다.닛케이는 오픈AI가 전 세계 3억명 이상의 사용자가 쓰고 있는 챗GPT와 이에 최적화한 기기를 앞세워 소프트웨어뿐 아니라 하드웨어 분야에서도 AI 시장을 장악하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울트먼은 생성형 AI 관련 반도체 개발에 대해선 "우리 회사에서 대응하고 있다"고 했다. 닛케이는 올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투자수익률 상위 1%의 고수들이 SK하이닉스와 기아, LG에너지솔루션 등을 담고 있다. 딥시크, 관세 우려 등으로 급락한 낙폭 과대 대형주를 저가 매수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3일 미래에셋엠클럽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계좌로 주식을 거래하는 수익률 상위 1% 고수들은 이날 개장부터 오전 10시까지 국내 증시에서 SK하이닉스를 가장 많이 순매수했다. SK하이닉스는 '딥시크 쇼크' 이후 개장 첫날인 지난달 31일 9.86% 급락한 데 이어 이날도 관세 전쟁 우려에 오전 11시 현재 4.6% 급락 중이다. 지난해 4분기 국내 기업 중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기록한 SK하이닉스의 급락세를 이용해 저가매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고수들의 순매수 2위는 기아였다. 기아 또한 트럼프발 관세 우려로 최근 들어 주가가 하락했다. 기아는 멕시코에 공장을 두고 있어 관세의 직접적인 피해가 우려된다. 그럼에도 기업 체질에 비해 낙폭이 과도하다는 판단에 매수세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이 밖에 LG에너지솔루션(5위), 삼성전자(6위), 삼성SDI(14위), POSCO홀딩스(15위) 등 낙폭 과대 대형주를 고수들은 순매수했다. 딥시크 호재를 맞은 카카오도 순매수 9위였다.이 시각 고수들이 가장 많이 순매도하고 있는 종목은 LG전자였다. LG전자 또한 멕시코에 공장을 두고 있어 관세 피해가 우려된다. 여기에다 뚜렷한 성장성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도에 나섰다는 분석이다.알테오젠, 이수페타시스, 실리콘투 등도 매도 종목 2~4위를 차지했다. 이들 종목은 최근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