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조선 사업 부진...건조가격 너무 높게 책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선소와 선사간에 선가에 대한 협상이 부진한 가운데 계획조선사업이 난
항을 겪고 있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조선업체가 "제도상 우월적 지위를 남용하면
서 해운회사의 협상제의를 외면한채 선박건조가격을 터무니없이 높게 제시"
건조계약이 제대로 체결되지 않고 있다.
계획조선이 국내조선소 건조로 한정돼 있는 점을 이용해 조선업계가 상호
담합, 1년전보다 건조가격을 달러기준으로는 30-70%, 원화기준으로는 8-40%까
지 올려 놓았다는 것이다.
작년 11월 산업은행이 실수요자인 해운회사의 신청을 받아 선정한 총 50만
5,400톤규모, 22척의 제13차 계획조선 물량중 3개월이 지난 현재 조선소와 선
사간에 실제건조계약이 체결된 것은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
다.
이에따라 선사는 선사대로 적기선박 투입에 차질을 빚게 되고 조선소는 조
업량을 실제로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함께 산업은행이 자체기준에 의해 산정한 선가를 조선소가 부인하자 조
선소제시 선가와의 차액분을 선사에 전액 자기자금으로 부담하도록 하고있어
선사들은 심각한 자금압박을 받고 있다.
항을 겪고 있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조선업체가 "제도상 우월적 지위를 남용하면
서 해운회사의 협상제의를 외면한채 선박건조가격을 터무니없이 높게 제시"
건조계약이 제대로 체결되지 않고 있다.
계획조선이 국내조선소 건조로 한정돼 있는 점을 이용해 조선업계가 상호
담합, 1년전보다 건조가격을 달러기준으로는 30-70%, 원화기준으로는 8-40%까
지 올려 놓았다는 것이다.
작년 11월 산업은행이 실수요자인 해운회사의 신청을 받아 선정한 총 50만
5,400톤규모, 22척의 제13차 계획조선 물량중 3개월이 지난 현재 조선소와 선
사간에 실제건조계약이 체결된 것은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
다.
이에따라 선사는 선사대로 적기선박 투입에 차질을 빚게 되고 조선소는 조
업량을 실제로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함께 산업은행이 자체기준에 의해 산정한 선가를 조선소가 부인하자 조
선소제시 선가와의 차액분을 선사에 전액 자기자금으로 부담하도록 하고있어
선사들은 심각한 자금압박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