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회사들의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담보비율 (계약자잉여금에 대한
보유보험료의 비율)이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상당수회사는 여
전히 위험수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작년말 현재 국내 13개 손보사의 보유보험료는 1
조2,238억원, 자본금과 비상위험준비금등 계약자잉여금은 3,089억원으로 담
보율이 396.2%를 기록, 지난 87년말의 411.2%보다 별로 나아지지 못했다.
회사별로 보면 럭키화재 177.9%, 신동아 256.7%를 비롯 국제, 안국, 보증
보험, 재보험, 고려등 7개사의 담보비율이 지급능력건실도 기준으로 평가되
는 300%를 밑돌아 안정성을 보였다.
반면 동양, 해동, 제일등 6개사는 담보율이 300%를 초과하고 있는데 특히
<>한국자동차보험의 경우 누적적자에 따른 자본잠식의 지속으로 마이너스
195.3%를 보이고 있고 그외 <>대한은 7년말의 597.1%에서 지난해말엔 617.3%
<>현대는 523.7%에서 575%로 각각 높아져 대형 보험사고가 발생할 경우 지급
불능사태가 우려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처럼 지난해 손보사들의 대규모 유상증자에 따른 자본금증가에도 불구하
고 많은 손보사의 담보율이 여전히 적정선으로 낮아지지 못하고 있는 것은 보
험료수입증대를 위한 과당경쟁이 심화되고 자동차보험에서의 손해가 크기 때
문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