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는 최근들어 전 산업체에 일고 있는 노사분규에 대해 노동자의
합리적인 요구를 수용하되 외부세력의 불법적 개입에 대해서는 철저히
배격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대한상의, 전경련, 무협, 기협중앙회, 경총, 전국은행연합회등 민간경제
6개단체는 11일 "자유민주복지사회의 구현을 위한 우리의 제언"을 발표,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이 제언에서 우리 경제 사회의 안정과 번영이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는 현실의 발생에는 민간경제계도 일단의 책임이 있다고 말하고 그러나
어떤 명분에 의한 것이든 사회적 기본질서를 파괴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정부의 엄정하고 일관성 있는 의법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서로의 권리와 의무를 존중하는 건전한 노사관계의 정착이 우리
경제사회의 안정발전을 위한 초미의 과제임을 통감한다고 전제, 노사분규에서
순수노동조직의 활동범주를 벗어난 외부세력의 불법적 개입과 책동을 배척
해야 한다고 천명했다.
이들 민간경제단체는 또 기업은 노동자의 정당하고 합리적인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고 근로자는 기업의 존립, 발전이 근로복지향상과 표리의 관계에
있음을 인식, 대화와 타협을 통한 순리적인 해결을 해 나가자고 촉구했다.
이들은 정부측에 대해 사회의 기본이념과 체제를 더욱 튼튼히 다져나가는
한편 시리에 맞고 유연성있는 북방 통일정책을 치밀하고 신중하게 수행해
나갈 것을 요구하면서 기업인들도 노사분규등 최근의 경제사회적 갈등과
진통에 대한 책임을 통감, 기업윤리와 기업가정신을 제정립해 줄것을 당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