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화장품수출, 일부국가 편중...미/일등 3개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산 화장품수출이 미/일등 일부 국가에 편중, 국내 화장품제조업체들의
수출선다변화가 요청되고 있다.
18일 대한화장품공업협회가 집계한 "88년 지역별 수출현황"에 따르면
태평양화학과 애경산업, 피어리스등 13개국내화장품제조업체는 지난 한햇동안
모두 23개국을 대상으로 1,657만8,000달러의 수출실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 일본이 751만8,000달러로 전체의 45.30%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비롯, 미국과 싱가포르가 235만4,000달러, 171만9,000달러로 각각 14.20%,
10.37%를 기록하는등 이들 3개국이 전체의 70%에 육박하는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또 말레이지아와 홍콩이 각각 122만9,000달러, 174만8,000달러로 6-7%를
차지하고 있고 주한미군부대 및 국내 외국기관에 납품하는 "내국수출"도
101만달러로 6.09%를 점유하고 있다.
이밖에 대만과 서독, 캐나다등이 1-2%선에 머물고 있으며 심지어 1%미만에
그친 나라도 태국을 비롯한 14개국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관련 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국과의 통상마찰과 원화절상등으로 수출
여건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같은 편중현상은 큰 문제"라며
"적극적인 수출선 다변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수출선다변화가 요청되고 있다.
18일 대한화장품공업협회가 집계한 "88년 지역별 수출현황"에 따르면
태평양화학과 애경산업, 피어리스등 13개국내화장품제조업체는 지난 한햇동안
모두 23개국을 대상으로 1,657만8,000달러의 수출실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 일본이 751만8,000달러로 전체의 45.30%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비롯, 미국과 싱가포르가 235만4,000달러, 171만9,000달러로 각각 14.20%,
10.37%를 기록하는등 이들 3개국이 전체의 70%에 육박하는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또 말레이지아와 홍콩이 각각 122만9,000달러, 174만8,000달러로 6-7%를
차지하고 있고 주한미군부대 및 국내 외국기관에 납품하는 "내국수출"도
101만달러로 6.09%를 점유하고 있다.
이밖에 대만과 서독, 캐나다등이 1-2%선에 머물고 있으며 심지어 1%미만에
그친 나라도 태국을 비롯한 14개국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관련 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국과의 통상마찰과 원화절상등으로 수출
여건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같은 편중현상은 큰 문제"라며
"적극적인 수출선 다변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