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통/해열제 소화제 감기약등 가정의약품들이 의사나 약사등 전문가의
처방에 의한 사용보다 환자나 구매자의 자의적 판단에 의해 더 많이 구입,
사용되고 있음이 밝혀져 국민보건차원에서 이의 개선책이 요망되고 있다.
28일 리스피아르 조사연구소가 지난 1/4분기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등
5개 지역의 1,590세대를 대상으로 한 "가정의약품조사"결과에 따르면 소화제
피부연고제 멀미약 연고제등 14가지 품목의 가정의약품을 구매자들이 직접
제품을 선정매입하는 비율이 평균 65.1%나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약국의 약사가 권유해 구입하는 것은 평균 22.4%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중 구매자가 특정상표를 지정하는 정도가 가장 심한 것은 멀미약으로
83.7%이며 그 다음이 진통/해열제(81.4%), 파스(78.0%), 습포제(77.4%),
위장약(68.0%), 피부연고제(67.4%), 영양제(65.9%), 소화제(65.8%)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치료상이나 사용상의 주의를 요하는 감기약(61.3%)이나 간장약
(57.0%)도 구매자의 특정상표명 지명률이 절반을 넘고 있어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약품판매업은 일반상품과 달리 국민보건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점을
감안, 정부가 특수자격을 갖춘 전문 약사제를 실시하고 있는데도 불구,
이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제약회사들이 매출액의 평균 12.1%나
되는 엄청난 광고비를 투입, 소비자의 구매심리를 자극하고 있기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