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가운데 무상증자재원중 주식발행초과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2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이날 현재까지 무상증자계획을 공시한
상장사들의 무상증자확정액은 모두 69개사에 6,787억원으로 지난해
무상증자실적인 2,385억원 (88개사) 에 비해 무려 184.5% 늘어났다.
또 이들 69개사의 무상증자재원 가운데 주식발행초과금이 모두
5,086억9,900만원으로 전체 재원의 75.0%를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자산재평가적립금이 1,629억2,100만원으로 24.9%이며 이익잉여금은 7억
8,000만원으로 0.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무상증자 재원중 주식발행초과금 전체 재원의 49.7% ***
이는 지난해 무상증자재원중 주식발행초과금이 1,185억6,600만원으로
전체 재원의 49.7%, 자산재평가적립금은 635억5,000만원으로 26.6%,
이익잉여금은 564억1,700만원으로 23.7% 달했던 점에 비해 올들어 무상증자
재원에서 주식발행초과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히 증대하고 있는 반면
자산재평가적립금과 이익잉여금의 비중은 대폭 축소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증시관계자들은 이같은 무상증자재원의 변화추세에 대해 <>시가발행제
실시로 유상증자에 따른 주식발행초과금이 대폭 늘어났고 <>자산재평가
적립금의 경우 증자후 순자산액이 자본금의 2배이상 (주식발행초과금의
경우 1.3배이상)이 돼야하는등 자본전입요건이 까다로우며 <>이익잉여금의
경우 증자때 세제혜택이 없어 상장사들이 이익잉여금의 자본전입을 기피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