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민정당은 국정분위기를 쇄신하고 당정협조를 강화하기 위해
노태우대통령과 야당총재간의 청와대 개별영수회담이 끝난뒤 6월말이나 7월
초에 대폭적인 내각개편을 단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민정당은 당초 문제가 된 각료의 보각형식으로 소폭 개편을 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내각의 행정추진능력을 제고하고 정치적인 기능을 강화
한다는 차원에서 총리를 포함한 대폭 개편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내무 건설 노동 보사등 개편 대상 ****
여권의 한 고위소식통은 29일 "노대통령과 김영삼 민주총재간의 31일 단독
회담을 시발로 오는 6월중순까지 영수회담을 마치고 야당총재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내각개편을 단행할 것"이라고 말하고
개편대상에는 경찰관집단사표 사태와 관련한 내무장관과 대통령의 법안
거부권행사와 관련한 노동/보사부장관 그리고 일산/분당 신도시건설계획에
따른 물의를 빚고 있는 건설장관등이 검토되고 있으며 총리의 교체가능성도
신중히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총리에 대해서는 여소야대국회에서 정치능력이 어느때보다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면서 "단순한 행정능력보다는 정치능력이
있는 인사를 기용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으나 총리를 교체할 것인지의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 추경예산안 처리뒤 내각 개편이 바람직 ****
그러나 또 다른 소식통은 "내각개편문제를 검토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그 시기는 오는 7월에 예정하고 있는 임시국회가 끝난후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하고 "현재의 내긱으로 추경예산안을 처리한뒤 내각을 개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민정당은 내각개편과 관련, 여야 만장일치로 국회에서 통과된 의료보험법
등에 대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토록 한 보사, 노동장관에 대해 강한
불만을 토로하고 특히 당정협조에서 불협화음을 노출한 일부 각료의 경질을
요청하고 있다고 한 소식통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