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약일까지의 기간 3주이상이나 단축 ****
유상증자의 실권을 줄이기 위한 정책당국의 손질이 바빠지고 있다.
지난달 주주우선공모증자제를 도입한데 이어 14일에는 유상신주발행가격
산출방식을 바꿨다.
신주배정일 5일 전종가와 청약일 7일전종가중 낮은 쪽을 기준주가로 삼아
신주를 발행할 수 있게 됐다.
이에따라 신주발행가가 확정된 날로부터 청약일까지의 기간은 7일로 종전의
30-35일보다 3주이상 단축됐다.
주가하락기에는 그만큼 신주발행가가 낮아지는 셈이다.
그러나 주가상승기에는 종전방식대로 신주발행가를 내면 되므로 발행가가
높아지지는 않는다.
**** 실제 할인효과 20% 안팎 ****
증권감독원은 새 제도의 시행으로 주가하락기에는 신주가격이 8-11%정도
낮아지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10%의 싯가발행 할인율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20%안팎의 할인효과를 거두는
셈이다.
재무부가 싯가할인폭을 결코 손대지 않겠다는 당초의 강경방침에서 후퇴한
것은 실권주를 줄여보려는 궁여지책으로 풀이된다.
사실 유상증자 기업들의 실권율은 지난 5월이후 급격히 높아져 기업자금
조달에 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지난 4월이전까지만 해도 3%이내에 불과했던 평균 실권율은 5월들어 7%,
6월에는 26%로 확대됐다.
경기, 강원, 전북, 대구은행등 은행의 실권율이 40-73%에 달하고 있다.
주식증자시 이처럼 실권주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것은 증시침체로 유상
증자의 매력이 크게 줄어든 때문이다.
올부터 주식발행할인율이 20%에서 10%로 축소, 신주발행가가 크게 높아져
발행가가 싯가에 접근하게 됐다.
**** 실권방지 고육지책, 공급위주 정책이 문제 ****
주식공급물량이 넘치는등 증시가 구조적 취약점을 나타내면서 유상증자에
참여하기 보다는 적당한 시기에 시장에서 주식을 사겠다는 투자자들이 급증한
것이다.
수급불균형으로 실권주가 속출하고 또 증자전에 보유주식을 매각, 주가가
하락하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권주발생을 가능한한 줄여보려는 일련의 이같은 고육지책이
얼마나 성과를 거둘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견해가 강한 편이다.
지난달에 도입된 주주우선 공모증자제도도 아직 이용하는 기업이 별로
없다.
이 제도는 주간사회사의 역할이 열쇠다.
하지만 증권회사들이 선뜻 주간사업무를 맡으려 하지 않는다.
증시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신주대금을 전액 내줘야 할분 아니라 주가
하락시 이를 떠받쳐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번에 신주발행가산출방법이 개선됨으로써 최근 문제가 되는 실권
발생을 막는데는 다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증권관계자들은 그러나 최근 공급과잉등으로 주식유통시장이 빈사지경에
이른 국면에서는 싯가발행제의 부분적인 손질만으로는 미흡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주식시장은 수레의 두바퀴처럼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이 잘돌아갈때 제기능을
할 수 있는데 유통시장이 침체된 현시점에서 발행방법만 바꾼다해서 증시가
잘 될수는 없다는 것.
따러서 최근과 같은 공급일변도의 증시정책을 근본적으로 바꿔 주식발행을
중단하든지, 아미년 수요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한 편이다.
사실 미일등 해외주요증시의 경우 증시침체기에는 유상증자나 기업공개를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증시에서의 주식수요가 자동적으로 공급을 조절토록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증시의 이같은 특성을 감안, 현재와 같은 유상증자 기업공개
권고제도 역시 재고해야 한다는게 증권관계자들의 공통적인 견해다.
또 싯가발행할인율의 대폭적인 확대에 따른 부작용을 인정한다면 변칙적인
방법으로 발행가를 낮추려 할 것이 아니라 이의 탄력적인 적용이 설득력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유통시장을 무시한 발행시장위주의 정책은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는 것이
증권전문가들의 공통적인 견해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