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철수 논의 시기상조"...최외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을 방문중인 최호중외무장관은 21일낮 (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
메리디언 호텔에서 가진 세계문제협회초청 오찬연설에서 "주한미군은
한반도내 전쟁억지력으로 기여해 왔다"며 "북한이 아직 한반도 적화통일을
포기하지 않고 있음에 비추어 주한미군철수 논의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 남북한간 군사력 균형등 선행조건 충족후라야 ***
외무부에 따르면 최장관은 "90년대의 한국외교정책과제"라는 주제로 행한
이 연설에서 "주한미군의 구성과 규모에 변화가 있기 위해서는 한미양국간
사전협의를 통한 완전 합의가 있어야 할뿐 아니라 남북한간의 군사력 균형,
평화보장 장치, 남북한관계개선등 선행조건이 충족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
했다.
최장관은 향후 동북아 국가들의 최대정책과제는 한반도및 동북아에서의
냉전구조를 평화와 협조체제로 대체하는 일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현재의
국제정세에서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화해분위기로 보아 남북한분단을 평화와
협조체제로 대체할 수 있는 기회가 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장관은 한미관계에 대해 "양국관계는 지난 40년동안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라는 양대 가치의 기반위에서 튼튼한 동맹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미국의
대한안보공약이 한국내 민주화와 경제성장에 크게 기여해 왔다"고 평가했다.
*** "90년대 남남협력등 강화할 터" ***
최장관은 이어 90년대 한국외교정책의 과제로 <>한국의 방위력 증강과
미국의 확고한 방위공약등을 통한 한반도내 긴장완화및 남북한화해 <>남북한
및 한반도주변 4강간의 관계정상화와 남북한 유엔가입등 평화와 안정을 위한
외교적 장치 마련 <>아/태지역국가간의 협력강화 <>대개도국 지원확대등 남남
협력강화를 제시했다.
최장관은 오는 24일 부시미대통령을 예방하며 25일에는 베이커 미국무장관
과 회담을 갖고 오는 10월로 예정된 노태우대통령의 미국방문 일정등을 협의
한뒤 오는 28일 귀국할 예정이다.
메리디언 호텔에서 가진 세계문제협회초청 오찬연설에서 "주한미군은
한반도내 전쟁억지력으로 기여해 왔다"며 "북한이 아직 한반도 적화통일을
포기하지 않고 있음에 비추어 주한미군철수 논의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 남북한간 군사력 균형등 선행조건 충족후라야 ***
외무부에 따르면 최장관은 "90년대의 한국외교정책과제"라는 주제로 행한
이 연설에서 "주한미군의 구성과 규모에 변화가 있기 위해서는 한미양국간
사전협의를 통한 완전 합의가 있어야 할뿐 아니라 남북한간의 군사력 균형,
평화보장 장치, 남북한관계개선등 선행조건이 충족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
했다.
최장관은 향후 동북아 국가들의 최대정책과제는 한반도및 동북아에서의
냉전구조를 평화와 협조체제로 대체하는 일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현재의
국제정세에서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화해분위기로 보아 남북한분단을 평화와
협조체제로 대체할 수 있는 기회가 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장관은 한미관계에 대해 "양국관계는 지난 40년동안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라는 양대 가치의 기반위에서 튼튼한 동맹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미국의
대한안보공약이 한국내 민주화와 경제성장에 크게 기여해 왔다"고 평가했다.
*** "90년대 남남협력등 강화할 터" ***
최장관은 이어 90년대 한국외교정책의 과제로 <>한국의 방위력 증강과
미국의 확고한 방위공약등을 통한 한반도내 긴장완화및 남북한화해 <>남북한
및 한반도주변 4강간의 관계정상화와 남북한 유엔가입등 평화와 안정을 위한
외교적 장치 마련 <>아/태지역국가간의 협력강화 <>대개도국 지원확대등 남남
협력강화를 제시했다.
최장관은 오는 24일 부시미대통령을 예방하며 25일에는 베이커 미국무장관
과 회담을 갖고 오는 10월로 예정된 노태우대통령의 미국방문 일정등을 협의
한뒤 오는 28일 귀국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