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급전금리 13%로 일률 인상....시중은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들이 부도를 모면하기 위해 은행에서 급하게 빌어 쓰는 일시 당좌대출
(통칭 일시대)의 금리가 빠르면 다음주말께부터 일률적으로 연 13%로 인상
된다.
**** 신탁은행 가장 먼저 다음주말께 인상할 듯 ****
22일 금융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대출기간이 하룻밤 사이인 타입대를
포함, 기업들이 이용하는 급전에 대한 금리를 현행보다 1-2%포인트 높은 연
13%로 인상, 적용키로 하고 우선 간사은행인 서울신탁은행이 빠르면 다음
주말께부터 인상금리를 시행하고 다른 은행들도 곧 뒤따르기로 했다.
일시대는 기업들이 부도를 막기위해 은행과의 사전 대출약정이 없는데도
당좌대출한도를 초과하여 빌어 쓰는 초단기 급전으로 대출기간은 통상 20일
이내이며 현재는 일반대출과 마찬가지로 기업체종합평점에 따라 11-13%의
차등금리가 적용되고 있다.
**** 콜금리보다 낮어 금리차 해소위해 ****
은행들의 이같은 금리인상 방침은 올들어 자금사정이 계속 좋지 않아
지급준비금 부족액을 채우기 위해서는 여유가 있는 은행이나 보험회사등 다른
금융기관으로부터 콜자금을 얻어 쓰는게 불가피한 형편인데다 일시대에
대해서는 현재 13% 수준인 콜금리보다도 낮은 금리가 적용되는데 따른
금리차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은행들은 당초 일시대의 금리를 각 은행이 한은에서 빌어쓰는 단기 유동성
조절자금(B2)의 15%보다 1-2%포인트 높게 책정할 것을 검토했으나 지나친
금리인상에 따른 기업들의 반발등을 감안, 일단 차등금리가 적용되고 있는
현행 일반대출금리체계중 가장 높은 13%를 적용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 기업의 추가금리부담 연간 수십억원 될듯 ****
일시대 규모는 시중자금사정에 따라 변동이 매우 심한 편이나 자금사정이
좋지 않을때에는 타입대규모만 해도 하루 1조원 수준을 넘어서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에따른 기업들의 추가 금리부담은 적어도 연간 수십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통칭 일시대)의 금리가 빠르면 다음주말께부터 일률적으로 연 13%로 인상
된다.
**** 신탁은행 가장 먼저 다음주말께 인상할 듯 ****
22일 금융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대출기간이 하룻밤 사이인 타입대를
포함, 기업들이 이용하는 급전에 대한 금리를 현행보다 1-2%포인트 높은 연
13%로 인상, 적용키로 하고 우선 간사은행인 서울신탁은행이 빠르면 다음
주말께부터 인상금리를 시행하고 다른 은행들도 곧 뒤따르기로 했다.
일시대는 기업들이 부도를 막기위해 은행과의 사전 대출약정이 없는데도
당좌대출한도를 초과하여 빌어 쓰는 초단기 급전으로 대출기간은 통상 20일
이내이며 현재는 일반대출과 마찬가지로 기업체종합평점에 따라 11-13%의
차등금리가 적용되고 있다.
**** 콜금리보다 낮어 금리차 해소위해 ****
은행들의 이같은 금리인상 방침은 올들어 자금사정이 계속 좋지 않아
지급준비금 부족액을 채우기 위해서는 여유가 있는 은행이나 보험회사등 다른
금융기관으로부터 콜자금을 얻어 쓰는게 불가피한 형편인데다 일시대에
대해서는 현재 13% 수준인 콜금리보다도 낮은 금리가 적용되는데 따른
금리차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은행들은 당초 일시대의 금리를 각 은행이 한은에서 빌어쓰는 단기 유동성
조절자금(B2)의 15%보다 1-2%포인트 높게 책정할 것을 검토했으나 지나친
금리인상에 따른 기업들의 반발등을 감안, 일단 차등금리가 적용되고 있는
현행 일반대출금리체계중 가장 높은 13%를 적용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 기업의 추가금리부담 연간 수십억원 될듯 ****
일시대 규모는 시중자금사정에 따라 변동이 매우 심한 편이나 자금사정이
좋지 않을때에는 타입대규모만 해도 하루 1조원 수준을 넘어서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에따른 기업들의 추가 금리부담은 적어도 연간 수십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