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류 대일수출 둔화 대책마련 시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무역적자 21억달러 ****
기계류의 대일수출이 시들해져 이에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4일 한국기계공업진흥회와 업계에 따르면 원화절상과 임금인상 원부자재
가격상승등 "3고"현상으로 국산기계류의 국제경쟁력이 약화되면서 기계류
수출이 지난해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0%이상에서 올들어 5월말 현재 12.3%로
크게 둔화되고 있다.
대일수출은 이 기간중 6억68만달러, 수입이 27억7,802만달러로 21억7,735만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 전산업의 대일무역적자 16억9,645만달러보다 5억
달러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기계류의 대일무역 역조현상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은 국내기계
공업 시설재의 60%이상 일본제품으로 개/보수하고 있고 핵심부품의 대부분을
이 지역에서 들여오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계류의 대일수출이 시들해져 이에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4일 한국기계공업진흥회와 업계에 따르면 원화절상과 임금인상 원부자재
가격상승등 "3고"현상으로 국산기계류의 국제경쟁력이 약화되면서 기계류
수출이 지난해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0%이상에서 올들어 5월말 현재 12.3%로
크게 둔화되고 있다.
대일수출은 이 기간중 6억68만달러, 수입이 27억7,802만달러로 21억7,735만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 전산업의 대일무역적자 16억9,645만달러보다 5억
달러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기계류의 대일무역 역조현상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은 국내기계
공업 시설재의 60%이상 일본제품으로 개/보수하고 있고 핵심부품의 대부분을
이 지역에서 들여오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