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용지 502만평 하반기에 공급...공업용지 171만평 조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토지개발공사는 분당/일산 신도시건설 사업지구를 비롯 전국의 임대및
국민주택과 분양주택 건설을 위한 택지와 공업용지의 수요증대에 대처하기
위해 올 하반기에 주거용지 1,660만3,000평방미터(502만3,000평)와 공업용지
566만5,000평방미터(171만4,000평)을 조성, 공급키로 했다.
** 임대주택지 79만평,국민주택지 91만평...무주택세대에 원가이하로 공급 **
8일 토지개발공사에 따르면 주거용지의 경우 공동주택용지의 70%는
임대주택및 국민주택용지로 조성, 무주택세대에 원가이하로 공급한다는
방침에 따라 임대주택지는 전체의 16%인 262만1,000평방미터(79만3,000평),
국민주택지는 전체의 18%인 301만8,000평방미터(91만3,000평)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밖에 분양주택지 230만1,000평방미터(69만6,000평), 단독주택지 158만
1,000평방미터(47만8,000평), 공공시설용지 44만3,000평방미터(13만4,000평),
무상공급(도로/공원) 663만9,000평방미터(200만9,000평)을 공급키로 했다.
또 공업용지의 경우 공장용지 475만5,000평방미터(143만8,000평)을 비롯,
연구시설용지 69만7,000평방미터(21만1,000평), 지원시설용지 21만3,000
평방미터(6만5,000평)을 공급할 계획이며 지역별로는 인천이 238만2,000
평방미터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전북 78만4,000평방미터, 경기 76만6,000
평방미터, 대전 69만7,000평방미터, 경북 50만9,000평방미터 등이다.
** 주거용지는 경기, 인천, 경남, 광주순으로 많아 **
주거용지공급을 지역별로 보면 신도시건설예정지가 있는 경기가 16개 지구
1,086만1,000평방미터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인천 150만6,000, 경남 98만
6,000, 광주 76만4,000, 대전 64만1,000, 대구 51만3,000, 경북 33만
3,000, 전북 29만6,000, 서울 18만2,000, 강원 14만5,000, 제주 13만, 부산
8만6,000, 전남 7만2,000, 충북 4만3,000, 충남 3만9,000평방미터 등이다.
** 공동주택/단독주택지 추첨제로 공급 **
토개공은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지는 추첨제로 공급하며 가격은 임대주택지의
경우 수도권및 부산은 조성원가의 90%, 대도시권 80%, 지방중소도시권 70%로,
국민주택지는 수도권및 부산권 100%, 대도시권 90%, 중소도시 80%로
공공주택건설 등록업자에게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임대/분양택지의 경우 공급대상지 인근에 소재하는 공업단지,
공업지역 및 연구단지에 입주 또는 입주할 업체로서 종업원을 위해
공동주택을 건설하고자 하는 업체에 최우선 분양순위를 줄 수 있도록 했으며
단독택지의 실수요자에게는 우선순위에 따라 분양토록 했다.
국민주택과 분양주택 건설을 위한 택지와 공업용지의 수요증대에 대처하기
위해 올 하반기에 주거용지 1,660만3,000평방미터(502만3,000평)와 공업용지
566만5,000평방미터(171만4,000평)을 조성, 공급키로 했다.
** 임대주택지 79만평,국민주택지 91만평...무주택세대에 원가이하로 공급 **
8일 토지개발공사에 따르면 주거용지의 경우 공동주택용지의 70%는
임대주택및 국민주택용지로 조성, 무주택세대에 원가이하로 공급한다는
방침에 따라 임대주택지는 전체의 16%인 262만1,000평방미터(79만3,000평),
국민주택지는 전체의 18%인 301만8,000평방미터(91만3,000평)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밖에 분양주택지 230만1,000평방미터(69만6,000평), 단독주택지 158만
1,000평방미터(47만8,000평), 공공시설용지 44만3,000평방미터(13만4,000평),
무상공급(도로/공원) 663만9,000평방미터(200만9,000평)을 공급키로 했다.
또 공업용지의 경우 공장용지 475만5,000평방미터(143만8,000평)을 비롯,
연구시설용지 69만7,000평방미터(21만1,000평), 지원시설용지 21만3,000
평방미터(6만5,000평)을 공급할 계획이며 지역별로는 인천이 238만2,000
평방미터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전북 78만4,000평방미터, 경기 76만6,000
평방미터, 대전 69만7,000평방미터, 경북 50만9,000평방미터 등이다.
** 주거용지는 경기, 인천, 경남, 광주순으로 많아 **
주거용지공급을 지역별로 보면 신도시건설예정지가 있는 경기가 16개 지구
1,086만1,000평방미터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인천 150만6,000, 경남 98만
6,000, 광주 76만4,000, 대전 64만1,000, 대구 51만3,000, 경북 33만
3,000, 전북 29만6,000, 서울 18만2,000, 강원 14만5,000, 제주 13만, 부산
8만6,000, 전남 7만2,000, 충북 4만3,000, 충남 3만9,000평방미터 등이다.
** 공동주택/단독주택지 추첨제로 공급 **
토개공은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지는 추첨제로 공급하며 가격은 임대주택지의
경우 수도권및 부산은 조성원가의 90%, 대도시권 80%, 지방중소도시권 70%로,
국민주택지는 수도권및 부산권 100%, 대도시권 90%, 중소도시 80%로
공공주택건설 등록업자에게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임대/분양택지의 경우 공급대상지 인근에 소재하는 공업단지,
공업지역 및 연구단지에 입주 또는 입주할 업체로서 종업원을 위해
공동주택을 건설하고자 하는 업체에 최우선 분양순위를 줄 수 있도록 했으며
단독택지의 실수요자에게는 우선순위에 따라 분양토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