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농림어업 총생산액 18조1,063억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88년도 농림어업부문의 총생산량을 농어가의 시장판매가격으로 평가한
총생산액(경상가격)은 87년의 15조8,568억원보다 14.2% 증가한 18조
1,063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 89년보다 14.2% 증가 **
10일 농림수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농업부문 생산액은 15조1,549억원으로
전년보다 16% 증가했는데 이중 경종부분은 유례없는 좋은 기상조건으로 거의
모든 작물이 풍작을 이룬데다 쌀, 채소의 경우 생산량이 크게 늘어났고
농가판매가격도 좋은 시세가 유지돼 87년도의 9조9,680억원보다 20.4%나
증가한 12조21억원에 달했다.
특히 쌀생산액은 5조9,943억원으로 농업부문 생산액의 39.6%를 차지했다.
축잠업의 생산액은 3조1,528억원으로 87년의 3조902억원에 비해 2.0%의
증가에 그쳤는데 이는 축산물의 가격안정을 위해 한우와 닭의 사육마리수를
줄였기 때문이다.
** 임업부분은 9.0% 늘어난 6,870억원 **
임업부문 생산액은 표고버섯및 산나물등이 다소 감소한 반면 기상호조로
밤/호도/잣등 종실류가 풍작이었을 뿐아니라 산림녹화로 간벌목 벌채량이
증가해 87년의 6,302억원보다 9.0%가 늘어난 6,870억원에 달했다.
또 어업부믄 생산액은 87년의 2조1,684억원 보다 4.4% 증가한 2조
2,644억원으로 늘었는데 연근해및 원양어업의 생산량은 다소 줄었음에도
수산물의 수요증가에 따른 가격호조로 생산액은 증가했다.
이번에 처음으로 발표된 농림어업부문의 총생산액은 당해연도에 생산된
각 품목별 생산량을 농어가판매가격으로 평가한 금액으로서 당해연도의
총생산액에서 중간재비용을 차감한 순부가가치를 추계한 국민총생산(GNP)
과는 개념상 차이가 있는데 한은이 발표한 88년의 GNP계정상의 농림어업부문
생산액은 13조6,000여억원이었다.
>>> 연도별 농림어업 총생산액 <<<
( 단위 : 억원, 괄호안은 구성비, % )
------------------------------------------------------------
86 87 88 88/87
증감(율)
------------------------------------------------------------
농림어업 152,835 158,568 181,063 22,495
(100) (100) (100) (14.2)
------------------------------------------------------------
농 업 126,599 130,582 151,549 20,967
(82.8) (82.3) (83.7) (16.1)
------------------------------------------------------------
경 종 95,457 99,680 120,021 20,341
(62.4) (62.9) (66.3) (20.4)
축 잠 업 31,142 30,902 31,528 626
(20.4) (19.5) (17.4) (2.0)
임 업 6,156 6,302 6,870 568
(4.0) (4.0) (3.8) (9.0)
어 업 20,080 21,684 22,644 960
(13.2) (13.7) (12.5) (4.4)
연근해어업 14,128 15,103 16,258 1,155
(9.3) (9.5) (9.0) (7.6)
원양어업 5,952 6,581 6,386 -195
(3.9) (4.2) (3.5) (-3.0)
-----------------------------------------------------------
총생산액(경상가격)은 87년의 15조8,568억원보다 14.2% 증가한 18조
1,063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 89년보다 14.2% 증가 **
10일 농림수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농업부문 생산액은 15조1,549억원으로
전년보다 16% 증가했는데 이중 경종부분은 유례없는 좋은 기상조건으로 거의
모든 작물이 풍작을 이룬데다 쌀, 채소의 경우 생산량이 크게 늘어났고
농가판매가격도 좋은 시세가 유지돼 87년도의 9조9,680억원보다 20.4%나
증가한 12조21억원에 달했다.
특히 쌀생산액은 5조9,943억원으로 농업부문 생산액의 39.6%를 차지했다.
축잠업의 생산액은 3조1,528억원으로 87년의 3조902억원에 비해 2.0%의
증가에 그쳤는데 이는 축산물의 가격안정을 위해 한우와 닭의 사육마리수를
줄였기 때문이다.
** 임업부분은 9.0% 늘어난 6,870억원 **
임업부문 생산액은 표고버섯및 산나물등이 다소 감소한 반면 기상호조로
밤/호도/잣등 종실류가 풍작이었을 뿐아니라 산림녹화로 간벌목 벌채량이
증가해 87년의 6,302억원보다 9.0%가 늘어난 6,870억원에 달했다.
또 어업부믄 생산액은 87년의 2조1,684억원 보다 4.4% 증가한 2조
2,644억원으로 늘었는데 연근해및 원양어업의 생산량은 다소 줄었음에도
수산물의 수요증가에 따른 가격호조로 생산액은 증가했다.
이번에 처음으로 발표된 농림어업부문의 총생산액은 당해연도에 생산된
각 품목별 생산량을 농어가판매가격으로 평가한 금액으로서 당해연도의
총생산액에서 중간재비용을 차감한 순부가가치를 추계한 국민총생산(GNP)
과는 개념상 차이가 있는데 한은이 발표한 88년의 GNP계정상의 농림어업부문
생산액은 13조6,000여억원이었다.
>>> 연도별 농림어업 총생산액 <<<
( 단위 : 억원, 괄호안은 구성비, % )
------------------------------------------------------------
86 87 88 88/87
증감(율)
------------------------------------------------------------
농림어업 152,835 158,568 181,063 22,495
(100) (100) (100) (14.2)
------------------------------------------------------------
농 업 126,599 130,582 151,549 20,967
(82.8) (82.3) (83.7) (16.1)
------------------------------------------------------------
경 종 95,457 99,680 120,021 20,341
(62.4) (62.9) (66.3) (20.4)
축 잠 업 31,142 30,902 31,528 626
(20.4) (19.5) (17.4) (2.0)
임 업 6,156 6,302 6,870 568
(4.0) (4.0) (3.8) (9.0)
어 업 20,080 21,684 22,644 960
(13.2) (13.7) (12.5) (4.4)
연근해어업 14,128 15,103 16,258 1,155
(9.3) (9.5) (9.0) (7.6)
원양어업 5,952 6,581 6,386 -195
(3.9) (4.2) (3.5)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