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4억원의 시세차익이 기대된다는 세종시 소담동 ‘힐스테이트세종리버파크’ 무순위 청약 접수로 청약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청약홈 홈페이지가 일시적으로 마비될 정도로 수요자가 몰렸다. 하지만 세종시 부동산 시장의 매수세가 급격히 위축돼 예상보다 큰 차익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6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홈페이지는 오전 9시10분께 접속에 문제가 생겼다. 힐스테이트세종리버파크 3가구 무순위 청약에 신청자가 몰린 여파로 풀이된다. 이 단지는 이날부터 7일까지 이틀에 걸쳐 무순위 청약을 받는다.무순위 물량 분양가에 2017년 공급 당시 가격이 적용돼 ‘로또 청약’으로 입소문을 탔다. 전용면적 84㎡ 분양가는 3억200만~3억2100만원이고, 전용 105㎡는 3억9900만원이다. 주변 시세와 비교하면 최대 4억원의 시세 차익을 거둘 수 있다. 청약통장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신청할 수 있는 물량이다.열기가 뜨거운 청약시장과 달리 세종 아파트 매매시장엔 찬바람이 불고 있다.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 3일 기준 0.07% 내리며 2023년 10월 셋째 주(-0.01%) 이후 1년3개월째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올해 들어 누적 변동률이 -0.31%로, 대구(-0.65%)에 이어 전국에서 하락률이 두 번째로 높다. 작년 한 해 변동률은 -6.47%로 대구(-4.99%)를 누르고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률을 나타냈다.고운동 가락마을 13단지 전용 59㎡는 지난달 2억8000만원에 팔렸다. 2021년 3월 기록한 최고가(4억9900만원)보다 2억원가량 떨어졌다. 윤수민 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세종은 분양가가 저렴하게 공급된 편이라서 청약시장에서 선방하고 있다”면서도 “수요 대비 공급 물량이 많아 매수세 위축은 한동안
그동안 정보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깜깜이’ 논란이 있던 담배의 유해성분이 내년 하반기부터 모두 공개된다.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담배 유해성분 검사와 공개 절차 등을 규정한 담배유해성관리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제정안을 6일 입법예고했다. 2023년 10월 제정된 담배유해성관리법의 올해 11월 시행을 앞두고 세부사항을 마련했다.시행령에 따라 담배회사들은 내년 2월 이전까지 국내에 판매 중인 담배의 유해검사를 검사기관에 의뢰해 유해성분과 성분별 독성·발암성 등을 확인해야 한다. 검사 결과를 받아 식약처장에게 15일 안에 제출하면 식약처장은 이 결과를 내년 12월 31일 이전까지 식약처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담배회사들은 2년마다 해당 연도 6월 30일까지 주기적으로 검사해야 하고, 새로 담배를 내놓을 땐 출시 한 달 안에 유해성분 검사를 의뢰해야 한다. 액상형·궐련형 등 전자담배도 대상에 포함된다. 검사기관은 식약처장이 지정하며, 국제표준화기구(ISO) 시험수행 능력 등을 요건으로 심사한다.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담배엔 4000여 가지 화학물질과 발암물질 70여 종이 포함됐다. 국내에선 타르, 니코틴 등 여덟 종류의 유해성분만 담뱃갑에 표기하고 있다. 정부가 담배 유해 성분을 공개하도록 정한 WHO의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에 가입한 것은 2005년이다. 하지만 그동안 국내에선 유해성분이 모두 공개되진 않았다. 담배회사들의 반발 등에 막혀 관련 법안 마련이 늦어져서다.복지부는 유해성분 분석 결과를 금연정책과 연계해 흡연 예방·금연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담배의 유해성분이 명확히 공개되면 담배제조사 책임이 부각돼 담배회
대형마트, 어린이도서관 등 다중 이용 시설에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미닫이 자동문) 대다수가 한국산업표준(KS) 안전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소비자원이 서울·경기 지역 19개 다중 이용 시설에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 30개를 조사한 결과 30개 모두에서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 치수가 확보되지 않았거나, 보호구가 설치되지 않았다. 24개(80%)는 움직이는 문과 고정문 프레임 사이 간격이, 22개(73.3%)는 움직이는 문과 바닥 사이 간격이 KS 규격보다 좁았다. 29개(96.7%)는 끼임 방지 보호구가 없었다.끼임 사고뿐만 아니라 충돌 사고 우려도 제기됐다. 조사 결과 대상 슬라이딩 도어 30개 중 16개(53.3%)는 KS 규격 범위 내에서 보행자를 감지하지 못했다. KS 규격은 보행자가 움직이는 문과 충돌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문 열림 센서가 1~1.5m 범위에서 보행자와 사물을 감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슬라이딩 도어 관련 사고가 이어지면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의무 설치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비자위해감시 시스템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3년 10월까지 접수된 슬라이딩 도어 관련 안전사고는 244건에 달했다. 피해자의 연령대는 10세 미만이 9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65세 이상이 40건으로 뒤를 이었다. 사고 유형별로는 끼임·눌림 사고가 133건(54.5%)으로 가장 많았고 부딪힘·충격 사고가 97건(39.8%)으로 뒤를 이었다.소비자원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슬라이딩 도어 설치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현재 KS 규격은 임의 규정으로, 슬라이딩 도어 설치업자가 반드시 준수할 의무는 없다. 유럽연합(EU)은 슬라이딩 도어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