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통화당국의 신축적인 통화관리로 시중자금사정이 호전됨에 따라 채권
시장이 계속 강세를 보이고 있다.
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통화채 1년짜리의 유통수익률은 이날 현재 연
14.2%로 지난주초의 15.0%에서 1주일만에 0.8%포인트 떨어졌고 회사채 3년
짜리의 유통수익률도 14.9%로 지난주초의 15.8%에 비해 0.9%포인트 하락
하는등 채권시장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 통화채 1년짜리 유통수익률 1주일만에 0.8%포인트 떨어져 ***
통화채 및 회사채 유통수익률은 채권시장이 최악의 침체를 보였던 지난
5월중순에는 각각 18.5%와 126.4%까지 치솟았었다.
채권시세가 이처럼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지난주초 제2금융권에 대한
3,900억원어치의 통화채배정에도 불구, 정부가 이달부터 월별 통화관리의
신축성을 확대함에 따라 통화의 균형있는 공급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 부동산투기억제책등으로 인플레 기대심리 진정 때문 ***
증시전문가들은 최근의 채권시장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실물경제
부문에서 생산코스트 절하와 수출 및 투자촉진을 위한 금리인하요구를
정부가 통화공급을 통한 시장실세금리의 안정화 유도로 수용한데다 <>부동산
투기 억제책등으로 인플레 기대심리가 진정되고 있으며 <>통안증권의 중/장
기 국채로의 전환을 앞두고 채권수익률의 안정이 필요하는등 경제전반에
걸쳐 금리안정의 필요성 및 여건이 성숙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들은 그러나 자금성수기인 추석전에 시중자금방출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추석후 통화환수 필요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대될 경우
채권시장 역시 일시적인 수익률 상승등 약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