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브루킹스연구소, 국제통화기금(IMF)….모두 미국 수도인 워싱턴 D.C.에 몰려있는 기관이다. 미 행정부와 사법부를 비롯해 세계 1위 씽크탱크, 각종 국제기구가 집적돼 '국제 정치의 심장'으로 불리는 이곳에 해고 칼바람이 불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미 정보효율부(DOGE) 구조 개혁의 여파다.16일(현지시간)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3~8일 워싱턴DC가 속한 컬럼비아특별구의 실업수당 신규 신청 건수는 1780건으로 집계됐다. 전주 대비 36% 늘었고, 1년 전보다 4배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일주일 기준 지난해 평균값(560건)의 세 배다. 같은 기간 미국 실업수당 신규 청구 건수는 총 21만 6000건으로, 전주 대비 7000건 감소했다.지난 6주 동안 컬럼비아특별구의 실업 수당 신청 건수는 직전 6주 동안의 실업수당 청구 건수 보다 55% 증가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가파른 상승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지난달 20일을 기점으로 워싱턴 D.C.의 실업률이 급증했다는 분석이다.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당선인 시절 머스크 CEO를 DOGE 수장으로 발탁했다. 관료주의가 만연한 미 연방정부를 구조개혁하겠다는 취지다. 머스크 CEO는 공식 취임 전부터 관료제를 비판하며 연방정부를 압박했다.대량 해고가 예견되자 일찌감치 사임한 직원들도 상당수다. 지난해 말 워싱턴 D.C.의 실업률은 5.5%로 미국 내 최고치를 찍었다. 미국 평균값(2.7%)의 두 배다.DOGE는 지난달 20일 트럼프 정권이 공식 출범한 뒤 구조 조정 속도를 끌어올렸다. 백악관을 비롯해 에너지부 등 각종 부처에서 대규모 감원을 시행했다. CNBC에 따르면 정권 출범 이후 조기 퇴직한 규모는 약 7만5000명에 이
“콘서트홀은 기초 설계에서 문제가 생기면 고치기 힘듭니다. 여긴 고칠 게 없습니다. 첫인상이 아주 좋아요. 아시아에서 제일 잘하는 오케스트라를 부산에서 보여주겠습니다.”정명훈 클래식부산 예술감독은 오는 6월 개관을 앞둔 부산콘서트홀에서 피아노를 ‘깜짝’ 연주한 뒤 이같이 말했다. 이날 부산시는 부산콘서트홀을 소개하고 부산을 클래식 음악 국제 도시로 만들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런던 필하모닉,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RCO) 등 세계적인 악단들을 섭외해 올해 공연을 선보이기로 했다.베토벤 ‘합창’으로 공연 포문 연다부산시와 부산콘서트홀 운영사인 클래식부산은 17일 부산콘서트홀의 개관을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정 감독은 오는 6월 20일 개관 첫 공연을 지휘한다. 그는 “부산을 아시아의 ‘음악적인 별’로 만들고 싶다”며 “한국이 가난한 나라에서 잘 사는 나라로, 이어 훌륭한 나라가 될 수 있도록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그간 부산엔 범용 목적으로 설계된 부산문화회관 외엔 대형 클래식 공연을 할 만한 장소가 없었다. 1953년 부산 태생인 정 감독이 직접 예술감독을 맡을 정도로 이번 공연장 개관에 기대감을 드러낸 까닭이다.부산콘서트홀은 대공연장이 2011석 규모다. 비수도권에서 처음으로 2000석을 넘긴 클래식 공연장이자 비수도권 최초로 파이프오르간을 설치한 공연장이다. 파이프오르간은 세계에서 가장 큰 악기로 오케스트라의 온전한 연주에 방점을 찍는 ‘악기의 제왕’으로 불린다. 파이프오르간이 있는 국내 공연장은 세종문화회관(1978년 설치), 롯데콘서트홀(2016년), 부천아트
삼성전자, LG전자가 인공지능(AI) 기능을 적용한 TV를 적극 출시하고 있다. AI TV는 사용자의 활용 패턴을 분석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안하는 ‘개인화’, 집안 가전 기기를 연결해 편의성을 높이는 ‘스마트홈’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중국 기업의 저가 물량 공세에 프리미엄 제품으로 대응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지키기 위한 전략으로 분석된다.◇삼성, AI 스마트홈 승부수17일 산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2일 AI 기능을 강화한 55형(화면 대각선 길이 137.5㎝) OLED TV 신제품을 국내에 출시했다. AI 신기능을 대거 적용한 게 특징이다.TV는 ‘AI 스마트홈’ 기능을 통해 △사용자 생활 패턴 △집안 기기 상태 △날씨 및 실내 온도 등을 분석해 사용자와 집안 환경에 맞는 행동을 제안한다. 예컨대 공기 질이 좋지 않을 때 공기청정기 작동을 제안하거나, 에어컨으로 냉방 때 냉방 효율을 위해 블라인드를 닫도록 추천하는 식이다.‘홈 모니터링 기능’도 갖췄다. 온디바이스AI(기기 자체적으로 구동되는 AI) 기반으로 TV의 센서와 카메라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보안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한다.스마트폰으로 가능한 기능도 대거 TV에 탑재됐다. TV 리모컨의 AI 버튼을 누르면 ‘클릭 투 서치’ 기능이 작동, 시청하는 콘텐츠와 유사한 프로그램을 추천받거나 등장인물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의 자막을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변환해주는 실시간 번역 기능도 갖췄다. 또 ‘AI 모드’를 사용하면 콘텐츠 장르를 인식해 맞춤 화질을 제공하고 최적의 밝기로 조절해준다. 콘텐츠 사운드도 실내 환경과 콘텐츠 특성에 맞춰 최적화한다.삼성전자는 지난달 5일 미국 라스베이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