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DS 혈청검사 대부분 늑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혈청검사가 최고 4개월이상이나 걸리는등 대부분
제때 실시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최고 4개월이상 걸리기도 ****
27일 보사부가 국정감사자료로 제출한 자체감사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국립보건원은 지난 87년 1월부터 올 5월까지 국립검역소 또는 시/도 보건환경
연구소로부터 의뢰받은 4만3,618건의 AIDS 혈청검사 가운데 7%만 6일이내에
검사를 마쳤고 뒤늦게 처리했으며 이중 61-120일이나 지나서 처리한 것도
30%나 된다.
또 같은기간중 국립보건원은 1차 AIDS 검사결과 이상반응(특이체질 또는
양성의심자)을 보여 2차검사가 필요한 458건중 27.7%인 127건은 현재까지도
채취혈청조차 확보하지 못했다.
**** 성병진단자 62% 대책없이 방치 ****
특히 성병건강진단자에 대해선 반드시 AIDS검사를 병행 실시하도록 돼
있으나 지난해 성병건강진단자 4만8,225명중 38.2%인 1만8,455명만 AIDS
검사를 실시했고 나머지 61.8%, 2만9,770명은 아무런 대책도 없이 방치했다.
** 순천향병원등 16개 의료기관 자체검진 실시로 보사당국에 적발 **
이밖에 성병검사때 채혈하는 혈청은 모두 보건소에 수시로 보내 AIDS
검사를 의뢰하도록 돼있는데도 순천향병원등 16개 의료기관의 경우 이를
보건소에 보내지 않고 자체 검진을 실시, 3,879만4,000원의 부당수익을
올렸다가 보사당국에 적발된 것으로 밝혀졌다.
제때 실시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최고 4개월이상 걸리기도 ****
27일 보사부가 국정감사자료로 제출한 자체감사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국립보건원은 지난 87년 1월부터 올 5월까지 국립검역소 또는 시/도 보건환경
연구소로부터 의뢰받은 4만3,618건의 AIDS 혈청검사 가운데 7%만 6일이내에
검사를 마쳤고 뒤늦게 처리했으며 이중 61-120일이나 지나서 처리한 것도
30%나 된다.
또 같은기간중 국립보건원은 1차 AIDS 검사결과 이상반응(특이체질 또는
양성의심자)을 보여 2차검사가 필요한 458건중 27.7%인 127건은 현재까지도
채취혈청조차 확보하지 못했다.
**** 성병진단자 62% 대책없이 방치 ****
특히 성병건강진단자에 대해선 반드시 AIDS검사를 병행 실시하도록 돼
있으나 지난해 성병건강진단자 4만8,225명중 38.2%인 1만8,455명만 AIDS
검사를 실시했고 나머지 61.8%, 2만9,770명은 아무런 대책도 없이 방치했다.
** 순천향병원등 16개 의료기관 자체검진 실시로 보사당국에 적발 **
이밖에 성병검사때 채혈하는 혈청은 모두 보건소에 수시로 보내 AIDS
검사를 의뢰하도록 돼있는데도 순천향병원등 16개 의료기관의 경우 이를
보건소에 보내지 않고 자체 검진을 실시, 3,879만4,000원의 부당수익을
올렸다가 보사당국에 적발된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