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휴/폐업 크게늘어...국감자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휴업률 1.74%로 86년이래 최고 ***
중소기업의 경영여건이 악화되면서 공장문을 닫거나 조업을 단축하는
업체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이때문에 중소기업의 고용 사정이 갈수록 악화되고 투자위축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 가동률 84.8%로 하락 ***
28일 상공부가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말현재 중소
기업체의 평균정상가동률은 84.8%로 87년의 88.1%, 지난해의 87.1%
수준을 크게 밑돌았다.
특히 1만9,000개의 중소기업협동조합 회원사중 344개업체로 휴업,
86년이후 가장높은 1.74%의 휴업을 기록했다.
*** 고용감소 / 투자위축 심화 ***
중소기업의 휴업률은 87년 평균 1.4%, 지난해에는 1.3%였다.
휴업에 들어간 업체중 경쟁력약화현상이 두드러진 섬유/의복/
가죽제조업체가 134사로 가장많고 광업 125개사, 음식료품제조업체는
37개사로 각각 나타났다.
또 올들어 7월말까지 완전폐업한 중소기업도 88개사에 달해
지난해 같은기간의 73개사를 크게 넘어섰다.
조업을 단축하는 업체도 지난7월말현재 2,654개사로 급증, 조업단축
업체비율이 87년 10.4%, 지난해의 11.2%에서 올해에는 12.9%로 높아졌다.
중소기업의 생산은 지난 5월이후 다소 나아지고 있으나 고용사정은
지난해 9월이후 지속적으로 악화돼 지난7월중에만 고용지수가 4포인트나
떨어졌다.
중소기업의 수출 또한 대기업보다 부진, 올들어 7개월간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 증가한 133억달러에 그쳐 전체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의 39.8%에서 올해에는 38.8%로 낮아졌다.
지난해 15.5% 늘어났던 중소기업의 투자도 크게부진,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조사결과 당초 7.7%증가로 잡았던 올해 투자규모가 실제는 1.6%감소할
전망이다.
이같은 중소기업의 경영악화는 수출부진과 노사분규증가/임금의 고율
인상등이 겹친 때문으로 국내외 경기의 급격한 회복이나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없는한 쉽게 해소되기 어려울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의 경영여건이 악화되면서 공장문을 닫거나 조업을 단축하는
업체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이때문에 중소기업의 고용 사정이 갈수록 악화되고 투자위축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 가동률 84.8%로 하락 ***
28일 상공부가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말현재 중소
기업체의 평균정상가동률은 84.8%로 87년의 88.1%, 지난해의 87.1%
수준을 크게 밑돌았다.
특히 1만9,000개의 중소기업협동조합 회원사중 344개업체로 휴업,
86년이후 가장높은 1.74%의 휴업을 기록했다.
*** 고용감소 / 투자위축 심화 ***
중소기업의 휴업률은 87년 평균 1.4%, 지난해에는 1.3%였다.
휴업에 들어간 업체중 경쟁력약화현상이 두드러진 섬유/의복/
가죽제조업체가 134사로 가장많고 광업 125개사, 음식료품제조업체는
37개사로 각각 나타났다.
또 올들어 7월말까지 완전폐업한 중소기업도 88개사에 달해
지난해 같은기간의 73개사를 크게 넘어섰다.
조업을 단축하는 업체도 지난7월말현재 2,654개사로 급증, 조업단축
업체비율이 87년 10.4%, 지난해의 11.2%에서 올해에는 12.9%로 높아졌다.
중소기업의 생산은 지난 5월이후 다소 나아지고 있으나 고용사정은
지난해 9월이후 지속적으로 악화돼 지난7월중에만 고용지수가 4포인트나
떨어졌다.
중소기업의 수출 또한 대기업보다 부진, 올들어 7개월간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 증가한 133억달러에 그쳐 전체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의 39.8%에서 올해에는 38.8%로 낮아졌다.
지난해 15.5% 늘어났던 중소기업의 투자도 크게부진,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조사결과 당초 7.7%증가로 잡았던 올해 투자규모가 실제는 1.6%감소할
전망이다.
이같은 중소기업의 경영악화는 수출부진과 노사분규증가/임금의 고율
인상등이 겹친 때문으로 국내외 경기의 급격한 회복이나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없는한 쉽게 해소되기 어려울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