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제 보다 30% 값싸 경쟁력 있어 ***
정부는 미국의 국내 교환기시장 개방압력에 맞서기 위해 TDX교환가의
국산화 시기를 당초 91년에서 90년으로 앞당기로 했다.
3일 상공부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대도시용 기종으로서
10만회선을 수용, 종합정보통신망 구성의 핵심장비로 운용될 TDX-10기종에
대해 지난 7월 인증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9월의 실용시험을 거쳐 오는
12월 상용시험을 실시키로 했다.
*** 12월부터 상용시험...내년 6월부터 상용화 ***
정부는 이같은 과정을 거친후 내년 6월부터 업체의 생산을 개시, 상용화에
본격적으로 들어가기로 했다.
그런데 농어촌용 기종인 TDX-1A(1만240회선)의 경우 상용시험을 85년
마치고 현재 약 76만회선을 설치, 운용중이며 중소도시형인 TDX-1B(2만480
회선)는 작년에 상용시험을 거쳐 올해 약 36만7,000회선을 목표로 설치작업을
진행중이다.
특히 국산 TDX-10기종의 가격이 외국제품보다 30% 정도 낮아 가격경쟁력이
클것으로 보고 있는데 다만 외국업체들이 국내시장 확보를 노려 덤핑판매에
들어갈 경우 이를 적극 방지해야 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