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범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데다 중국 정부가 언제든 이를 들여다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세계 각국이 잇따라 접속차단 등 금지 조치에 나선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PC는 물론 로봇과 전기차까지 서비스 영역 확장에 나섰다.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보도에 따르면 중국 컴퓨터 제조업체,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업체, 자동차 제조업체 등에서 딥시크 AI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거나 탑재에 나섰다.중국 컴퓨터 제조업체 레노버는 최근 웨이보(중국 SNS)를 통해 자사 샤오톈 AI 어시스턴트와 딥시크 AI 모델을 통합했다고 밝혔다. 문장 독해와 코드 생성, 수학, 추론 등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레노버는 지난해 초 출시한 샤오톈 서비스를 태블릿과 스마트폰 등 다른 제품으로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중국 최대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업체 UB테크는 자사 로봇에서 딥시크 AI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로봇이 복잡한 현실세계 환경에서 지시를 이해하도록 돕고 공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중국 지리자동차는 운전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딥시크의 RI 추론 모델을 자사가 개발한 신루이 AI 모델에 탑재하고 있다.이 밖에도 다양한 산업군에서 딥시크 도입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딥시크의 비용상 이점과 오픈소스라는 접근 방식이 업체들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한편 국내 주요 정부부처는 정보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딥시크 금지령'을 내렸다. 딥시크는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은 물론 키보드 입력 패턴과 리듬 등 다양한 개인정보를 수집,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하는 만큼 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종이 빨대 대신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권장했다.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나는 종이 빨대(사용)에 대한 말도 안 되는 바이든의 압박을 끝내기 위해 다음 주에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종이 빨대 사용 권장에 대해 "작동하지 않고 있다"면서 "플라스틱으로 돌아가자"고 강조했다.트럼프 대통령은 1기 재임 때도 종이 빨대 대신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권장한 바 있다. 2019년에는 빨간색 일반 빨대에 트럼프(TRUMP) 로고를 새긴 뒤 이를 10개에 15달러에 판매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당시 캠프는 일주일 만에 46만 달러(약 6억7000만원)를 모금하는 등의 성과도 거뒀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Arm과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약 20년 전인 2005년 11월 미국 퀄컴이 배포한 보도자료 내용이다. 퀄컴은 모바일 프로세서 시장 진출을 위해 Arm과 동맹을 맺었다. Arm은 반도체 설계회사에 기본 설계(IP)를 제공하고 로열티를 받으며 '반도체 업계의 스위스'로 불리는 회사다.퀄컴은 Arm의 IP를 기반으로 모바일 프로세서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스마트폰의 성능을 좌우하는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스냅드래곤'도 이렇게 탄생했다.퀄컴은 스냅드래곤을 앞세워 약 50조원으로 추정되는 글로벌 AP 시장을 장악했다. 퀄컴의 매출 기준 글로벌 AP 시장 점유율은 2023년 기준 약 40%. 프리미엄 스마트폰용 AP 시장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가진 영향이다. (출하량 기준 세계 1위는 대만 미디어텍)기본 설계를 제공한 동업자 Arm도 승승장구했다. 퀄컴이 AP를 팔 때마다 꼬박꼬박 로열티를 받았다. 로열티 금액은 연 4500억원 수준. Arm의 매출에서 퀄컴 비중은 10%에 달한다. 두 회사의 공생은 영원할 것처럼 보였다. 퀄컴 Arm 반도체 거물의 감정 싸움관계가 틀어진 건 2021년 1월. 애플에서 AP를 개발한 핵심 엔지니어들이 창업한 스타트업 누비아를 퀄컴이 14억달러(약 2조원)에 인수하면서다.누비아는 처음엔 서버용 CPU를 개발했다. 하지만 퀄컴에 인수된 이후 '오라이온'이라고 불리는 스마트폰·PC·자동차용 CPU 개발로 방향을 틀었다. 오라이온 프로젝트는 성공적으로 평가됐다. 오라이온 기술은 최근 퀄컴이 내놓은 스냅드래곤 엘리트 AP에도 들어간다. (이 AP는 갤럭시 S25에 납품됐다.)퀄컴 입장에선 누비아의 기술을 활용하면 되기 때문에 Arm 의존도를 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