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경제 악화...고용저하/물가상승/생산둔화-FRB 발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무역적자 급증 주가하락 ***
한동안 안정국면에 놓여있던 미국경제가 고용사정의 악화 물가상승
생산증가세의 둔화등 구조적인 문제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미FRB(연준리)는 18일 지난9월중 미국의 산업생산이 0.1%감소, 7개월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산업생산은 지난 2월 전월대비 0.2%가 줄어든데 이어 3월부터는
계속 증가세를 유지했으며 8월의 경우 0.3%의 증가율을 나타냈었다.
*** FRB발표 각종지수 하향추세 ***
FRB는 또 9워리중 설비 가동률이 8월의 84.1%보다 0.4%포인트 낮은
83.7%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내구재생산업계의 가동률은 같은기간중 82.7%에서 82.1%로, 소비재
업계의 가동률은 86.2%에서 86%로 각각 0.6%포인트와 0.2%포인트가
떨어졌다.
FRB의 이날 발표와 관련, 미최대증권사인 메릴린치사의 경제전문가들은
"소비자지출등 미국의 경기호조를 떠받쳐온 주요 활력이 지난달부터
사라지고 있다"고 밝히고 "현재로선 어떤 상품도 수요의 뒷받침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이코노미스트들은 또 19일하오에 발표될 9월 중소비자물가지수
(CPI)가 평균 0.4%의 가파른 오름세를 보일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6월과 7월 0.2%씩 상승한데 이어 8월에는
제자리에 머무는등 최근 수개월동안 계속 안정세를 유지해왔다.
미노동부가 이미 이달초에 발표한 9월중 생산자물가지수(PPI)는 6월부터
8월까지의 내림세에서 무려 0.9%상승으로 급반전, CPI와 함께 인플레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미국의 PPI는 지난 5월 0.9%가, 뛴이후 6월중 0.1%, 7월 0.4%, 8월
0.4%씩 계속 낮아져 왔다.
실업률도 8월의 5.2%에서 9월에는 5.3%로 뛰었다.
한편 미상무부가 발표한 8월중 무역적자는 107억7,000만달러로 금년들어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미국의 무역수지개선에 대한 전망을 더욱 비관적으로
만들었다.
8월중 무역적자는 7월의 82억4,000만달러보다 30.7%나 뛰어오른 것이다.
9월중 무역수지악화소식은 16일 강한 반등세를 보였던 뉴욕증시의
주가에 악영향을 미쳐 폐장시 다우존스공업평균지수는 전일의 2,657.38에서
2,638.73으로 18.65포인트가 미끄러졌다.
한동안 안정국면에 놓여있던 미국경제가 고용사정의 악화 물가상승
생산증가세의 둔화등 구조적인 문제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미FRB(연준리)는 18일 지난9월중 미국의 산업생산이 0.1%감소, 7개월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산업생산은 지난 2월 전월대비 0.2%가 줄어든데 이어 3월부터는
계속 증가세를 유지했으며 8월의 경우 0.3%의 증가율을 나타냈었다.
*** FRB발표 각종지수 하향추세 ***
FRB는 또 9워리중 설비 가동률이 8월의 84.1%보다 0.4%포인트 낮은
83.7%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내구재생산업계의 가동률은 같은기간중 82.7%에서 82.1%로, 소비재
업계의 가동률은 86.2%에서 86%로 각각 0.6%포인트와 0.2%포인트가
떨어졌다.
FRB의 이날 발표와 관련, 미최대증권사인 메릴린치사의 경제전문가들은
"소비자지출등 미국의 경기호조를 떠받쳐온 주요 활력이 지난달부터
사라지고 있다"고 밝히고 "현재로선 어떤 상품도 수요의 뒷받침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이코노미스트들은 또 19일하오에 발표될 9월 중소비자물가지수
(CPI)가 평균 0.4%의 가파른 오름세를 보일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6월과 7월 0.2%씩 상승한데 이어 8월에는
제자리에 머무는등 최근 수개월동안 계속 안정세를 유지해왔다.
미노동부가 이미 이달초에 발표한 9월중 생산자물가지수(PPI)는 6월부터
8월까지의 내림세에서 무려 0.9%상승으로 급반전, CPI와 함께 인플레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미국의 PPI는 지난 5월 0.9%가, 뛴이후 6월중 0.1%, 7월 0.4%, 8월
0.4%씩 계속 낮아져 왔다.
실업률도 8월의 5.2%에서 9월에는 5.3%로 뛰었다.
한편 미상무부가 발표한 8월중 무역적자는 107억7,000만달러로 금년들어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미국의 무역수지개선에 대한 전망을 더욱 비관적으로
만들었다.
8월중 무역적자는 7월의 82억4,000만달러보다 30.7%나 뛰어오른 것이다.
9월중 무역수지악화소식은 16일 강한 반등세를 보였던 뉴욕증시의
주가에 악영향을 미쳐 폐장시 다우존스공업평균지수는 전일의 2,657.38에서
2,638.73으로 18.65포인트가 미끄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