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합성섬유업계 경기 퇴조기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PE 단섬유/레이온사등...출고 줄고 가동률 떨어져 ****
지난 86년부터 호황을 누려왔던 미국내 합섬섬유시황이 퇴조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
미국내 합섬섬유의 대표적인 품목인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지난 9월중 국내
출고량은 1억6,000만파운드로 지난해 9월의 출고량 1억9,100만파운드보다
16.2%가 감소했다.
지난 6월부터 9월까지의 3/4분기중 출고량은 5억4,000만파운드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1,200만파운드가량 감소했다.
금년 3/4분기 또는 9월중 이같은 미국내 폴리에스터단섬유 출고량의 감소는
금년 1/4분기의 출고량이 15억4,800만파운드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4.3%가량
증가 했던 것에 비하면 매우 대조적인 것이다.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국내출고량 감소에 따라 1월부터 17억800파운드로
전년동기대비 1.5% 증가에 그쳤다.
이 기간중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해외수출 물량은 전년동기대비 19%나
감소해 미국내 폴리에스터단섬유경기의 부진을 단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미국내 사류 및 직물류 생산업체관계자들은 금년에도 폴리에스터를 비롯한
합성섬유경기가 호황을 누릴 것으로 예상했으나 사실은 미섬유류 수요의
변화가 시작된 것을 의미하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8월부터 9월까지의 수요량 및 재고량, 공장가동률등을 고려해
볼때 금년 4/4분기에도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부진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런데 금년 8월중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재고량은 2억3,400만파운드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이같이 높은 재고량이 9월에는 2억1,900만파운드로 감소했으나 이 품목
생산공장가동율은 평균 97%에서 78%로 감소했다.
한편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아크릴방적사, 레이온방적사의 경기도 모두
부진한 것으로 분석됐다.
금년 9월말 현재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의 재고량은 1억1,700만파운드로
금년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반면 공장가동율은 금년중 가장 낮은 수준인
77%를 기록했다.
레이온방적사의 경우도 금년 1월부터 9월까지의 미국내 출고량은 2억6,900
만파운드로 지난해보다 10% 감소했는데 9월중 레이온생산공장의 가동율은
72%에 불과했다.
이와함께 아크릴방적사도 9월중 출고량이 3,400만파운드로 전년동월의
3,700만파운드에 비해 300만파운드가량 감소했으며 공장가동율은 78%로 역시
금년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아크릴방적사의 출고량은 금년 상반기까지만해도 지난해보다 3.3%
웃돌았으나 3/4분기부터 감소하기 시작해 금년 1월부터 9월말까지의 출고량이
지난해보다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상무성의 통게에 따르면 금년 1월부터 9월까지 미국내 합섬섬유의 총
출고량은 57억2,200만파운드로 전년대비 0.3%만이 증가했으며 수출물량은 15%
감소했다.
9월말 현재 합성섬유의 총재고량은 7억100만파운드이다.
지난 86년부터 호황을 누려왔던 미국내 합섬섬유시황이 퇴조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
미국내 합섬섬유의 대표적인 품목인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지난 9월중 국내
출고량은 1억6,000만파운드로 지난해 9월의 출고량 1억9,100만파운드보다
16.2%가 감소했다.
지난 6월부터 9월까지의 3/4분기중 출고량은 5억4,000만파운드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1,200만파운드가량 감소했다.
금년 3/4분기 또는 9월중 이같은 미국내 폴리에스터단섬유 출고량의 감소는
금년 1/4분기의 출고량이 15억4,800만파운드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4.3%가량
증가 했던 것에 비하면 매우 대조적인 것이다.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국내출고량 감소에 따라 1월부터 17억800파운드로
전년동기대비 1.5% 증가에 그쳤다.
이 기간중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해외수출 물량은 전년동기대비 19%나
감소해 미국내 폴리에스터단섬유경기의 부진을 단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미국내 사류 및 직물류 생산업체관계자들은 금년에도 폴리에스터를 비롯한
합성섬유경기가 호황을 누릴 것으로 예상했으나 사실은 미섬유류 수요의
변화가 시작된 것을 의미하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8월부터 9월까지의 수요량 및 재고량, 공장가동률등을 고려해
볼때 금년 4/4분기에도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부진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런데 금년 8월중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재고량은 2억3,400만파운드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이같이 높은 재고량이 9월에는 2억1,900만파운드로 감소했으나 이 품목
생산공장가동율은 평균 97%에서 78%로 감소했다.
한편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아크릴방적사, 레이온방적사의 경기도 모두
부진한 것으로 분석됐다.
금년 9월말 현재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의 재고량은 1억1,700만파운드로
금년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반면 공장가동율은 금년중 가장 낮은 수준인
77%를 기록했다.
레이온방적사의 경우도 금년 1월부터 9월까지의 미국내 출고량은 2억6,900
만파운드로 지난해보다 10% 감소했는데 9월중 레이온생산공장의 가동율은
72%에 불과했다.
이와함께 아크릴방적사도 9월중 출고량이 3,400만파운드로 전년동월의
3,700만파운드에 비해 300만파운드가량 감소했으며 공장가동율은 78%로 역시
금년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아크릴방적사의 출고량은 금년 상반기까지만해도 지난해보다 3.3%
웃돌았으나 3/4분기부터 감소하기 시작해 금년 1월부터 9월말까지의 출고량이
지난해보다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상무성의 통게에 따르면 금년 1월부터 9월까지 미국내 합섬섬유의 총
출고량은 57억2,200만파운드로 전년대비 0.3%만이 증가했으며 수출물량은 15%
감소했다.
9월말 현재 합성섬유의 총재고량은 7억100만파운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