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 여전히 불투명...기획원 "10월동향 발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경제는 지난 10월들어 산업생산이 소폭 증가에 그치고 제조업 부문의
투자는 감소하는 등 신장세가 크게 둔회됨으로써 경기회복 전망이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 선행 / 동행지수 증가폭 크게 둔화 ***
9일 경제기획원이 발표한 "89년 10월중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월중 경기
선행지수와 동행지수는 전월에 비해 각각 0.3%와 0.4% 증가, 지난 7월이후
4개월째 회복세를 보이고 있긴 하나 그 증가폭이 지난 9월의 1%와 0.7%에
비해 크게 둔화됐으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2%의 감소로 반전돼 앞으로의
경기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또 산업생산은 전기전자, 운수장비, 제조업등의 수출부진과 내수정체등으로
전월보다는 1% 감소하고 작년 동월에 비해서는 0.6%의 소폭 증가에 그쳤으며
전반적인 경기침체와 함께 제조업 가동율이 지난 9월의 78.6%에서 78%로
0.6%포인트 낮아졌다.
*** 산업생산 9월보다 1% 감소 / 가동률은 0.6% ***
특히 VTR, 전자레인지, 비디오테이프 등 전기전자부문의 생산이 전월에
비해 7.1% 감소한 것을 비롯 운수장비 5.3%, 산업용 화합물 10%, 석유정제업
4.4%씩 줄었다.
반면 기계는 7.7%, 과학/정밀기기는 1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성장잠재력의 기반이 되는 투자는 기계수주가 제조업부문의 감소로
작년 동월대비 10.1%증가에 그쳤는데 특히 민간 제조업부문의 투자는 자동차,
1차금속, 식품, 화학공업 등에서의 발주감소로 작년 동월보다 18%나 감소
했다.
*** 실업율 작년수준...신규취업 서비스업종에 집중 ***
건축허가면적은 주거용및 상업용의 대폭 증가로 작년 동월보다 70.9%
증가했으나 공업용은 부진을 면치 못해 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내 건설수주는 공공및 민간부문에서 모두 대폭적인 증가세를
보여 작년 같은 달보다 228.6%나 늘어났다.
한편 취업자수는 1,830만4,000명을 작년 동월대비 38만8,000명이 증가한
반면 실업자수는 39만6,000명으로 6,000명 증가에 그쳐 실업율은 작년
동월과 같은 2.1% (계절조정 기준 2.6%)를 보였다.
그러나 신규 취업자는 주로 서비스업종에서 크게 늘어남으로써 취업구조의
취약성을 노출시키고있다.
경제기획원은 경기선행지수가 10월중에도 소폭 증가세를 나타냈으나 지난
8월의 대폭 증가이후 9월에 이어 다시 상승폭이 크게 낮아져 앞으로의 경기
회복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분석했다.
투자는 감소하는 등 신장세가 크게 둔회됨으로써 경기회복 전망이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 선행 / 동행지수 증가폭 크게 둔화 ***
9일 경제기획원이 발표한 "89년 10월중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월중 경기
선행지수와 동행지수는 전월에 비해 각각 0.3%와 0.4% 증가, 지난 7월이후
4개월째 회복세를 보이고 있긴 하나 그 증가폭이 지난 9월의 1%와 0.7%에
비해 크게 둔화됐으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2%의 감소로 반전돼 앞으로의
경기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또 산업생산은 전기전자, 운수장비, 제조업등의 수출부진과 내수정체등으로
전월보다는 1% 감소하고 작년 동월에 비해서는 0.6%의 소폭 증가에 그쳤으며
전반적인 경기침체와 함께 제조업 가동율이 지난 9월의 78.6%에서 78%로
0.6%포인트 낮아졌다.
*** 산업생산 9월보다 1% 감소 / 가동률은 0.6% ***
특히 VTR, 전자레인지, 비디오테이프 등 전기전자부문의 생산이 전월에
비해 7.1% 감소한 것을 비롯 운수장비 5.3%, 산업용 화합물 10%, 석유정제업
4.4%씩 줄었다.
반면 기계는 7.7%, 과학/정밀기기는 1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성장잠재력의 기반이 되는 투자는 기계수주가 제조업부문의 감소로
작년 동월대비 10.1%증가에 그쳤는데 특히 민간 제조업부문의 투자는 자동차,
1차금속, 식품, 화학공업 등에서의 발주감소로 작년 동월보다 18%나 감소
했다.
*** 실업율 작년수준...신규취업 서비스업종에 집중 ***
건축허가면적은 주거용및 상업용의 대폭 증가로 작년 동월보다 70.9%
증가했으나 공업용은 부진을 면치 못해 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내 건설수주는 공공및 민간부문에서 모두 대폭적인 증가세를
보여 작년 같은 달보다 228.6%나 늘어났다.
한편 취업자수는 1,830만4,000명을 작년 동월대비 38만8,000명이 증가한
반면 실업자수는 39만6,000명으로 6,000명 증가에 그쳐 실업율은 작년
동월과 같은 2.1% (계절조정 기준 2.6%)를 보였다.
그러나 신규 취업자는 주로 서비스업종에서 크게 늘어남으로써 취업구조의
취약성을 노출시키고있다.
경제기획원은 경기선행지수가 10월중에도 소폭 증가세를 나타냈으나 지난
8월의 대폭 증가이후 9월에 이어 다시 상승폭이 크게 낮아져 앞으로의 경기
회복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분석했다.